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중 다음주부터 핫라인설치 실무협의 시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한중 국방부장관이 양국간 핫라인(직통전화)을 조기에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다음주부터 양국 국방부 간 핫라인 설치를 위한 실무회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4일 국방부는 "국방당국 간 전략적 소통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국방부 간 직통전화를 이른 시일 내에 개통할 수 있도록 실무협의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에서 열린 국방장관회담은 2011년 열린 김관진 당시 국방장관과 량광례(梁光烈) 전 중국 국방부장간 회담 이후 처음이다.


한중은 그동안 진전되지 못했던 핫라인을 빠른 시일내에 설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핫라인 실무회의는 영관급 장교(과장급)가 맡고 상반기 내에 설치할 것으로 보인다. 또 직통전화 기술의정서를 조속히 체결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노무현 정부 후반인 2007년부터 중국에 한ㆍ중 국방부 간 핫라인 설치를 제안해왔다. 양국은 7년동안 핫라인 설치안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다가 지난해 7월 제4차 한ㆍ중 국방전략대화에서 핫라인 설치를 합의하고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이에 따라 늦어도 지난해 말 양국 국방 수뇌부 간 직통전화 개설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핫라인은 설치되지 않았다.


양국은 또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및 안정에 관한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으며, 한 장관은 북한이 도발하면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한 장관은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하면 핵실험을 중지하겠다'는 북한의 주장과 관련, "한미연합훈련과 핵실험은 상호 연계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 남북대화는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대화에 임해야 한다"는 우리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또 지난해 437구의 중국군 유해를 우리 측이 중국에 송환한 데 이어 국내에서 추가 발굴된 6ㆍ25 전쟁 당시 중국군 유해 68구를 올해 3월 송환키로 합의했다. 중국은 내주 초 유해송환을 위한 실무협의를 위해 실무대표단을 한국에 파견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양측은 PKO(유엔평화유지활동), 해적 퇴치 등 평화 유지 목적의 국방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면서 "국방 사이버 분야에 대한 협력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밝혔다.


창 부장은 또 이번 회담에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ㆍTHAAD)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국방부 고위 관리가 사드 배치 가능성에 대한 입장을 우리 측에 공식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일 정보공유약정과 북한 급변사태, 방공식별구역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창 부장은 한 장관이 내년 편리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해주도록 초청했다. 회담에 앞서 창완취안 부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한국 방문은 저의 세 번째방문이자 국방부장 취임 이후에 첫 방문이다.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저의 집에 왔다는 느낌이 든다"면서 "한중 양국은 서로 중요한 이웃나라이고 또 명실상부한 좋은 파트너, 좋은 친구"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국 정상이 양국 군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합의한 공동인식을 현실화하고 양국 군의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일련의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한 장관은 "양국은 성숙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며 "9년 만에 이루어지는창완취안 부장의 방한은 양국 정상 간 합의를 충실하게 이행하는 의미가 있는 한편 양국 국방당국 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교류협력을 한층 증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국방부장의 방한은 9년 만이다. 창 부장은 한중 국방장관회담을 마친 뒤 5일 출국한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