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도권 전세가율 80%이상 23만… 전년比 10배 늘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전셋값이 매매값의 80% 넘는 아파트가 23만여가구로 지난해 말보다 10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 80% 넘는 가구는 10월 말 현재 총 23만890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 2만3450가구의 10배 수준이다.

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가구 수는 서울이 현재 2만1405가구로 지난해 말 1975가구의 11배에 육박하며 경기는 지난해 말 2만1475가구에서 현재 20만5439가구로 급증했다. 전세가율 80% 이상 아파트 물량은 서울에서는 전체(126만4674가구)의 1.7% 수준이며 경기 아파트 중에선 전체(202만3375가구)의 10.2%에 달한다.


특히 아파트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하락·전세가격 상승’ 기조가 이어지면서 꾸준히 높아졌다. 국민은행 ‘KB 부동산알리지’가 조사한 전국 아파트의 매매값 대비 전셋값 비율은 10월 말 현재 65.9%를 기록했다.

이 중 서울의 전세가율은 60.1%로 올라 2002년 8월(60.7%) 이후 11년2개월 만에 60%대에 다시 진입했다. 서울에서 전세가 비율이 60%를 넘은 구는 전체 25개 중 성북 등 17개구(68%)에 달했다.


지난달 25일 기준으로 조사한 전세가율이 높은 아파트 중에는 서울 강동구 천호동 주상복합 강동역우정에쉐르(전용면적 62㎡)가 92.2%로 가장 높다. 매매값이 2억5000만~2억6000만원인 이 아파트의 전셋값은 2억3000만~2억4000만원에 이른다.


서울 강동구 천호동 천호역두산위브센티움(39㎡)도 92.1%로 뒤를 이었다. 매매값과 전셋값 간 격차가 1500만~2000만원에 불과하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전셋값이 지속적으로 오르는데도 매매 수요는 많이 늘어나지 않고 있다”며 “취득세 영구 인하 등 부동산관련 법안의 입법이 조기에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에도 매매시장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