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주 설사질환 원인 64% ‘바이러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8초

[아시아경제 김보라 기자]


광주지역에서 발생한 설사질환의 주요 원인이 ‘바이러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광주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급성설사질환 감시사업을 통해 수집한 설사환자 가검물 2215건 중 1296건에서 원인병원체를 확인했다. 이 가운데 832건(64.2%)이 바이러스, 464건(35.8%)이 세균성 병원체였다.


확인된 병원체를 살펴보면 바이러스성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가 63.9%로 가장 많았고, 이어 로타바이러스가 19.2%를 차지했다.

세균성 병원체는 황색포도알균(40.7%), 병원성대장균(30.8%), 살모넬라균(12.3%) 순으로 분리됐다.


특히 집단식중독의 원인병원체인 노로바이러스는 전년도(48.8%)에 비해 30% 정도 증가한 반면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백신 도입 등으로 전년(40.4%)에 비해 절반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재근 연구원 미생물과장은 “식사 전이나 외출 후에 반드시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을 써야 하고, 가정 내에 환자가 발생했을 때는 구토나 대변을 철저히 처리해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환자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겨울철에도 물은 끓이고, 음식은 반드시 익혀 먹는 등 음식물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보라 기자 bora1007@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