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생태 중시 선진국화 현상..관련 예산 5년간 30%증가, 지역문화 활성화 견인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문화재, 자연환경 관련 보수ㆍ정비ㆍ복원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정부 예산도 해마다 늘고, 지방자치단체의 복원사업 유치 경쟁이 활발하다. 특히 복원을 통한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준비 작업들도 눈에 띈다. 개발연대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환경과 생태가 중시되면서 나타나는 현상 중에 하나다.
14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재 보수ㆍ복원 관련 예산은 지난 5년간 30.5% 증가했다. 지난 2008년 1900억원이었던 해당 예산은 지난 2011년 2100억원, 2012년 2358억원으로 늘어났고, 올해 총 2480억원이 투입된다. 이 중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문화재 보수ㆍ복원에는 380억원이 들어간다. 문화재 복원의 종류에는 금속, 목조, 석조, 서화, 자연환경 등 다양하다. 관련 복원업 역시 보수단청, 석공사, 목공사, 번와공사, 실측설계, 감리, 조경, 보존과학, 식물보호 등이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최근 세계적으로 한류 붐이 일면서, 대중가요 뿐 아니라 한국문화에 대한 확산을 위해 정부차원에서도 '전통한류'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문화재 복원사업도 예산이 증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복원예산이 투입되는 세계문화유산들에는 수원화성 정비(131억원), 불국사 경내 정비(16억8000만원), 풍납토성 토지매입(200여억원) 등이 있다. 계속사업인 수원화성은 정비는 지난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꾸준히 보수,복원 예산이 10억원 내외로 투입돼다 최근 화성 행궁도 복원을 위한 토지매입으로 관련 예산이 늘었다. 풍납토성도 토지매입으로 최근 3개년간 해마다 200억원 내외로 예산이 들고 있다.
한양도성은 서울시 차원에서 전담과까지 만들 정도로 추진의지가 큰 사업이다. 국비와 시비 매칭으로 시비만 3년간 327억원이 투입된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 28일 한양도성 전담부서인 '한양도성도감'과 '한양도성연구소'를 신설한 바 있다.
국가지정문화재 외에도 시 지정문화재 관련 지자체 예산도 증액됐다. 서울시의 경우 지난 2011년 20억원, 지난해 29억5000만원이었던 것에서 37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에는 장위동 김진흥 가옥, 석파정 등 27곳이 정비될 예정이다.
건축, 성곽 그리고 내부 동산문화재 뿐 아니라, 천연기념물 등 자연환경 관련 정비 사업들도 보수,복원 사업에 해당한다. 올해에는 보령시 외연도 상록수림, 설악산, 한라산, 신안군 홍도 등 정비가 진행된다. 지난해 식생, 내천, 숲 정비사업으로 서울 종로 백석동천 복원, 제주도 용암동굴의 토지매입 등이 이뤄진 바 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지자체에서는 문화유산을 지역의 자랑거리로 여기며 이를 통한 지역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지자체 수요가 많은데, 10개의 요청이 있다면 2개밖에 예산을 주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화재 보수와 복원이 주목받으면서 관련 업체와 인력들이 크게 늘면서 오히려 과당경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관련 등록업체들은 2011년 320여개에서 지난해 400여개로 늘어났다. 또 보존ㆍ복원 인력은 총 2000명이 활동한다.
문화재 복원의 기술력이나 예산처리 등에 대한 지적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예산투입이 적다고 볼 순 없다"면서 "문제는 복원의 세분화와 기준, 부재의 활용 등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미흡한데, 선진국에 비교해 이를 총괄할 전문가 양성이 매우 부족한 편"이라고 말했다.
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