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전문대가 고객만족王 됐다

시계아이콘02분 2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2012 국가고객만족도 NCSI 조사

-영진전문대·영남이공대, 1·2위
-호텔 오름세…아파트 내림세
-농심 잡은 삼양 등 뒤집기 많아

전문대가 고객만족王 됐다 2012년 NCSI 평가 전체 1위 영진전문대학의 가상공학센터에서 학생들이 3D 디지털 콘텐츠 제작과정을 배우고 있다. <사진 제공= 영진전문대학>
AD


전문대가 고객만족王 됐다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지난해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대외적 악조건 속에서 국내 기업들의 고객 중심 경영이 빛을 발했다. 경기 불황 장기화로 그 어느 때보다 가격 민감도가 높았지만 품질과 서비스 개선에 힘쓴 결과 소비자 만족도 상승이라는 효과로 이어졌다.

8일 한국생산성본부가 발표한 국가고객만족도(NCSI)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NCSI 평균 점수는 72.8점으로 2011년 72.4점 보다 0.4점(0.6%) 상승했다. 이는 지난 1년간 국내 64개 산업, 288개 기업(대학)과 공공기관의 직접 소비자 7만714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NCSI점수가 70점 이상인 '우수' 고객만족 기업 수는 253개로 2011년 225개 보다 크게 늘었다. 우수 기업 비율도 2011년 78.8%에서 지난해 83.3%로 4.5%p 높아졌다. 반면 같은 기간 60~69점 비율은 16.4%(45개)에서 8.7%(25개)로 7.7%p나 내려갔다.

생산성본부 관계자는 "우수 기업 수 증가는 전체 조사대상 기업 수가 2011년 보다 14개 더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우수 기업 비율을 보면 기업들이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들이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렀고 이런 노력이 고스란히 NCSI 점수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진전문대' 전체 1위…산업별 1위 '호텔'= 지난해 NCSI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영진전문대학(전문대학서비스부문)이 89점을 받아 전 업종을 통틀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영남이공대학교(전문대학서비스부문)는 86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상위 10위권 안에는 영진전문대와 영남이공대 외에도 광주보건대(4위), 신성대(8위), 조선이공대(10위) 등 5개 전문대학이 이름을 올렸다. 2011년과 마찬가지로 10위권 내에 5곳의 전문대학이 들었지만 전체 산업별 NCSI점수는 67점으로 전년 대비 2점(2.9%) 내려갔다. 이는 대부분의 대학들이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학생들에게 취업에 대한 확신을 주지 못한 탓으로 풀이된다. 각 대학들이 교육시설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재학생들이 피부로 느끼는 등록금, 취업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지 못해 고객만족도가 전년 대비 다소 하락한 것이다.


또 전통적으로 강세를 나타내던 아파트가 내림세를 보인 반면 호텔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삼성물산(아파트건설업부문)이 85점으로 3위를 유지하는 데 그쳤고, 2011년 4위를 차지했던 대림산업은 7점이나 떨어지며 20위로 밀려났다. 대신 롯데호텔과 조선호텔, 신라호텔이 나란히 5~7위에 이름을 올렸다. 9위는 대구지하철공사(81점)에 돌아갔다.


산업별 고객만족도 순위에서는 호텔이 79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병원서비스는 77점으로 2위였다. 이어 준대형승용차·대형승용차·우편서비스가 76점으로 공동 3위에, 냉장고·전력공급서비스·아파트건설업·대형서점이 75점으로 공동 6위에 올랐다. 반면 국립대학(66점)이 전체 산업별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병원 부문에서는 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이, 사립대학교 부문에서는 성균관대가 1위로 선정됐다. 또 현대자동차(대형승용차·준대형승용차·준중형승용차·중형승용차·RV), 기아자동차(준대형승용차·소형승용차), 우편서비스(공공행정서비스), 교보문고(대형서점), 샤넬(여성용화장품), NHN(검색포털), 위니아만도(김치냉장고), 삼성전자(TV·냉장고·개인용컴퓨터·스마트폰·태블릿PC), LG전자(세탁기·냉장고·에어컨), 애플(스마트폰ㆍ태블릿PC), KB국민은행(은행), 롯데마트(대형마트), 롯데백화점(백화점), 대한항공(국내항공) 등도 해당분야에서 고객만족도 1위를 기록했다.


◆산업별 선두기업 약진…1위 뒤집기도= 지난해 NCSI 조사결과를 보면 글로벌 경기 침체, 국내 경기 불안 등 어려운 경제 여건에도 고객만족도가 상승했다. 경제 부문(Economic Sector)별로 살펴보면 총 12개 부문 중 8개에서 NCSI 점수가 상승했다.


그러나 산업별로는 사정이 달랐다. 2011년과 비교할 수 있는 58개 산업 중 전년 대비 NCSI 점수가 오른 산업은 26개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그런데도 국가 차원(National Level)의 NCSI는 72.8점으로 전년 보다 0.4점(0.6%) 높아진 것은 각 산업 내 선두기업의 약진 덕분인 것으로 분석됐다. 산업별 고객만족도 1위 업체들의 NCSI 평균 향상률은 1.1%로 중하위업체 평균 향상률(0.3%) 보다 높았다. 또 산업별 1위 업체 중 전년 대비 고객만족도가 향상된 기업 비중은 60%를 상회했다. 중하위 업체들이 50%를 채 넘지 못한 것과 대조적이다.


'1위 뒤집기'도 잇달았다. 그동안 1위를 내주지 않았던 기업이 밀려난 산업이 4개, 공동 1위가 13개나 됐다. 지난 2010년 7개, 2011년 11개의 공동 1위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경쟁이 점점 더 치열해지는 셈이다. 특히 호텔 부문의 선두 다툼이 치열했다. 2011년 82점으로 호텔 부문 1위를 기록했던 신라호텔이 지난해 롯데호텔, 조선호텔에 밀려나 3위에 머물렀다. 라면부문에서는 삼양식품이 2011년 1위 팔도와 전통 강자인 농심을 누르고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이 밖에 국제 항공, 준대형승용차, 스마트폰, 태블릿PC, 냉장고, 병원, 초고속인터넷, 신용카드 등 다수의 업종에서 공동 1위가 나왔다. 생산성본부 관계자는 "선두기업의 고객만족 노력으로 상위권 기업들 간 고객만족도가 상향평준화되고 있으나 중하위권 기업들의 노력은 이에 미치지 못해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면서 "중하위 기업들에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고객 중심 경영 전략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국가고객만족도(NCSI)= 주요 제품과 서비스 만족도를 100점 만점으로 나타낸 점수다. 국내 또는 해외에서 생산돼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직접 사용한 경험이 있는 최종 소비자가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를 모델링에 근거해 지표로 산출한다. NCSI 모델은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기대 수준, 인지 품질, 인지 가치, 종합 만족, 고객 불평률, 고객 충성도, 고객 유지율 등으로 구성된다. 또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생산·판매 활동을 하는 외국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가 측정 대상에 포함돼 있어 국내↓외 기업의 품질 비교 평가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문대가 고객만족王 됐다




박혜정 기자 park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5.2815:10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28일부터 6월3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는 공표할 수 없다. 이른바 '깜깜이 기간'이다. 향후 여론 흐름이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다. 지난 27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한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여론이 변동할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폭은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7일 밤 TV 토론 영향과 관련한 28일 추가 질문에서도 "이미 부동층 비중이 급격히 줄었고, 상

  • 25.05.2506:00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일본에서 쌀 파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선진국 일본에서 쌀 파동 때문에 민심이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이 "우리 집에 쌀이 남아돈다"는 발언을 했다가 즉시 경질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일본 정부는 아시아권 관광객들이 몰려와서 쌀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쌀이 부족하다는 황당한 해명까지 내놓으며 비판을 받고 있다. 경질된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일본 미야자키현 출신으로 아버지인 에토 다

  • 25.05.2406:00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가 최근 '오픈런' 현상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사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마트는 더 이상 비용 압박을 견디기 어렵다며 소비자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월마트의 존 데이비드 레이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대중국 관세가 145%에서 30%로 낮아졌지만, 30%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 25.05.2310:01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없는 한 승리한다"며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는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21일 오후 5시 30분,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와 전화로 인터뷰 한 박 의원은 서울과 호남을 오가며 선거운동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현재 판세를 어떻게 보나.내란수괴가 파면되고 새로운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열망이 이재명 지지로 뭉치고 있다.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 25.05.2209:18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인터뷰는 지난 5월 20일 오후 3시, 서울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에서 진행됐다. 김 이사장은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가 아닌 수구세력의 집합체일 뿐"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대선 이후 보수 세력의 재구성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요즘에 어떻게 지내나.바쁘다. 우선 아버지(김영삼 전 대통령·YS) 기념사업에

  • 25.05.2906:50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 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 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906:50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815:26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06:00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7세 고시'와 '초등 의대반' 등으로 대표되는 입시 중심 사교육은 공교육 붕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권 침해도 야기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아시아경제와 초등교사노동조합(초등노조)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교사 3098명을 대상으로 '공교육의 위기와 교권 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95%(2942명)는 '공교육이 붕괴했다'고 했다. 초등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관리

  • 25.05.2806:00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15:10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윤희웅 "남은 기간 여론 변동폭 제한적"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28일부터 6월3일까지 실시된 여론조사는 공표할 수 없다. 이른바 '깜깜이 기간'이다. 향후 여론 흐름이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는 기간이다. 지난 27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한 윤희웅 오피니언즈 대표는 "여론이 변동할 가능성은 있지만, 변동폭은 상당히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7일 밤 TV 토론 영향과 관련한 28일 추가 질문에서도 "이미 부동층 비중이 급격히 줄었고, 상

  • 25.05.2506:00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품질 떨어진다며 한국산 기피하더니…트렁크에 한가득 담아가는 日관광객

    일본에서 쌀 파동이 거세게 일고 있다. 선진국 일본에서 쌀 파동 때문에 민심이 폭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이 "우리 집에 쌀이 남아돈다"는 발언을 했다가 즉시 경질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일본 정부는 아시아권 관광객들이 몰려와서 쌀을 많이 먹었기 때문에 쌀이 부족하다는 황당한 해명까지 내놓으며 비판을 받고 있다. 경질된 에토 다쿠 농림수산성 장관은 일본 미야자키현 출신으로 아버지인 에토 다

  • 25.05.2406:00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매일 오픈런 월마트의 가격인상, 트럼프가 제동 건 이유

    미국 최대 소매업체인 월마트가 최근 '오픈런' 현상을 겪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여파로 물가가 계속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사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월마트는 더 이상 비용 압박을 견디기 어렵다며 소비자 가격 인상을 발표했다. 월마트의 존 데이비드 레이니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대중국 관세가 145%에서 30%로 낮아졌지만, 30%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

  • 25.05.2310:01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실수 안 하면 승리, 진영대결 되면 50 대 49 될 것"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없는 한 승리한다"며 "김문수-이준석 단일화는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21일 오후 5시 30분,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와 전화로 인터뷰 한 박 의원은 서울과 호남을 오가며 선거운동에 분주한 모습이었다. 현재 판세를 어떻게 보나.내란수괴가 파면되고 새로운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열망이 이재명 지지로 뭉치고 있다. 실수만 하지 않으면 이변이

  • 25.05.2209:18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국민의힘, 대선 이후 해체돼야"

    김현철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 이사장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인터뷰는 지난 5월 20일 오후 3시, 서울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김영삼대통령기념재단에서 진행됐다. 김 이사장은 "국민의힘은 더 이상 보수가 아닌 수구세력의 집합체일 뿐"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하며 "대선 이후 보수 세력의 재구성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요즘에 어떻게 지내나.바쁘다. 우선 아버지(김영삼 전 대통령·YS) 기념사업에

  • 25.05.2906:50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 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③정책자금만 쳐다보는 VC… 유니콘 찾는 '선구안' 부족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906:50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②'떡잎부터' 떠날 고민하는 스타트업

    편집자주한국 벤처 생태계의 대전환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벤처캐피털(VC) 업계와 주식시장이 미래의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스타트업)을 품지 못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들이다. 실제로 국내 스타트업 시장은 2021년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유니콘이 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스타트업들이 살길을 찾아 속속 외국으로 떠나고 있는 데 따른 현상이다. 한국의 미래 성

  • 25.05.2815:26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12년간 9번 입시 롤러코스터, 불운의 고3 황금돼지띠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 25.05.2806:00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단독]존중의 실종…의욕 잃은 교사들 "공교육이 붕괴했다" 95%④

    '7세 고시'와 '초등 의대반' 등으로 대표되는 입시 중심 사교육은 공교육 붕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권 침해도 야기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아시아경제와 초등교사노동조합(초등노조)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교사 3098명을 대상으로 '공교육의 위기와 교권 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95%(2942명)는 '공교육이 붕괴했다'고 했다. 초등교사들은 학생, 학부모, 관리

  • 25.05.2806:00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고3 황금돼지띠가 겪은 입시 롤러코스터③

    '7세 고시'로 대표되는 사교육과 공교육 붕괴 현상은 오락가락하는 정부 교육 정책 탓이 크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정확히는 정책이 너무 쉽게, 너무 자주 바뀐다는 게 문제다. 수능으로 대표되는 입시 제도가 바뀔 때마다 학생과 학부모의 학원(사교육) 의존도가 올라가고, 가계의 사교육비 부담이 치솟는 현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입시 정책은 대체 얼마나 자주 바뀌었을까. 이와 관련해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가 올해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