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박지원 소환 불응...檢-野 힘겨루기 계속 전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지선호 기자]19일 불법자금 수수 의혹이 불거진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71)가 결국 검찰 소환에 불응했다. 향후 검찰과 야당의 신경전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앞서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산하 저축은행비리 합동수사단(최운식 부장검사)은 이날 오전 10시까지 대검찰청 조사실로 출석하라고 지난 17일 박 원내대표에게 소환 통보했다. 서울 서초동 대검 청사 앞에 늘어선 취재진의 카메라에 굵은 빗줄기 너머 박 원내대표의 모습은 들어오지 않았다.

검찰은 소환에 불응한 박 원내대표에 대해 두세차례 재통보한 뒤 이에 응하지 않으면 체포영장 청구 등 강제구인에 나서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안이 부결된 마당에 제1야당 원내 대표인 박 의원을 강제구인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박 원내대표가 “정치검찰의 공작수사”라며 생명을 걸고 싸울 뜻을 밝힌 이상 검찰이 택할 수 있는 다음 수는 사실상 회기가 끝나기를 기다려 신병확보에 나서는 길 밖에 없다. 그러나 이마저도 민주통합당이 민생현안, 국정감사 준비 등을 이유로 다음 달에도 국회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방탄국회’ 비판을 무릅쓰고라도 검찰의 소환 조사에 응할 뜻이 없음을 내비춘 셈이다.

박 원내대표는 영업정지된 솔로몬저축은행 임석 회장으로부터 지난 2008년 18대 총선을 앞두고 1억원 안팎의 금품을 받은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또 오문철 전 대표 등 유상증자 비리가 포착된 보해저축은행측 인사들로부터 각 수천만원씩 모두 1억원 안팎의 금품을 받은 의혹도 받고 있다.


검찰은 그간 “풍문이나 첩보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박 원내대표 소환 조사에 대해선 조심스런 입장을 보여왔다. 소환통보 하루 전 채동욱 대검 차장이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고 말했을 정도다. 검찰이 정치검찰 논란을 무릅쓰고 직접 소환에 나선 것은 구체적인 물증이나 진술을 확보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


검찰은 박 원내대표를 조사 과정에서 얼마든지 피의자로 신분이 바뀔 수 있는 참고인성 피혐의자 신분으로 소환 통보했다. ‘정치검찰’과 ‘방탄국회’ 어느쪽이든 실체가 드러나는 대로 오명을 뒤집어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당분간 검찰과 야권의 힘겨루기는 계속될 전망이다.




지선호 기자 likemo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