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맨틱한 삼류 드라마.” 대중의 눈에 비친 오스트리아 황후 엘리자벳의 삶은 이보다 더 탁월한 정의를 찾기 어려워 보인다. 말타기와 외줄타기를 좋아하던 열 여섯, 사촌오빠 요제프와 사랑에 빠져 황후가 된 여자. 정치는 물론 부부의 잠자리 사정까지 시시콜콜하게 참견하는 대공비 소피를 시어머니로 둔 여자. 자신이 낳은 아이를 기르기는커녕 3주간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여자. 미모를 무기 삼아 국민들이 마실 우유로 자신을 가꾸던 여자. 시어머니의 계략으로 남편으로부터 성병을 얻은 여자. 그리고 결국 암살된 여자. 하지만 뮤지컬 <엘리자벳>은 말한다. 그녀는 끊임없이 자유를 꿈꾸고 스스로의 삶을 일으키고자 치열하게 살았던 여자라고.
<#10_LINE#>
‘샤토드’ 회차를 늘려 달라
지난 8일부터 블루스퀘어에서 공연을 시작한 <엘리자벳>에 매회 화력 높은 박수가 터져 나오는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 작품에는 뮤지컬 팬들의 굳건한 신뢰를 받는 김선영, 류정한을 비롯해 주조연을 가리지 않고 자신의 롤을 해내는 배우들로 가득하다. 루케니 역의 박은태는 자신의 존재감을 그 어떤 작품보다 강하게 심었고, 윤영석의 요제프는 마마보이와 로맨티스트 사이의 적정선을 그리며 엘리자벳을 든든히 서포트했다. 그리고 김준수는 화룡정점이다. 가사전달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굴려진 발음이나 쉰 목소리로 내는 광기어린 웃음은 이질적이지만 그래서 오히려 정체를 알 수 없는 죽음(이하 토드)에 가까웠다. 나른한 목소리와 적절히 배치된 숨소리는 44곡의 넘버 중 유난히 느린 템포와 블루지한 토드의 곡에 녹아들어 묘한 분위기를 풍겼고, “동적인 토드가 될 거”라 공언했듯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긴장감이 그의 움직임에 있었다. 상황에 맞춰 탁성과 미성을 나눠 쓰는 창법 역시 끊임없이 완전한 자유로서의 죽음을 갈망해온 엘리자벳과 토드의 관계를 한층 더 입체적으로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낯선 오스트리아의 역사는 송스루 안에서 더욱 생소했고, “위대한 사랑”이라는 엘리자벳과 토드의 관계 역시 모호하기만 하다. 스토리가 <사랑과 전쟁>류의 통속극 형태를 따라갈 수밖에 없는 이유다. 극단적인 이야기 위로 음악과 거대한 실물 세트, 수 차례의 의상 체인지 등 다양한 장치가 더해져 무대는 지루할 틈 없이 채워졌다. 하지만 여백의 상징 대신 직접적인 설명으로 가득한 연출은 때로는 과하게, 때로는 안일하게 보였다. <엘리자벳>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되풀이되는 한 일가의 고독을 그리는 작품이기도 하다. 엘리자벳과 남편 요제프, 아들 루돌프는 한 목소리로 울부짖는다. “날 혼자 두지마.” 그리고 그 외로움은 거대한 성이 아닌 낯선 이들의 수군거림과 “그저 흔한 싸구려”라 통칭되어 판매되는 기념품 속에 더 있었다.
초연에서 중요한 것은 대중성일지도 모른다. 무엇이 옳고 그르다 단언할 수 없지만 <엘리자벳>은 더 많은 함의를 담은 작품이다. 토드 역시 자살을 멋있는 것이라 여기던 당시 오스트리아의 분위기에서 나온 캐릭터다. 그의 나른한 음악에는, 그와 함께 추는 춤에는 이유가 있다. 토드가 살아 움직일 때 비로소 엘리자벳도 깨어날 수 있다. 지금의 <엘리자벳>은 한국 관객이 좋아할만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있다. 하지만 앞으로 공연이 계속되기 위해서는 좀 더 디테일한 세공이 필요하다. 뮤지컬을 상업 장르라 단정 지을 수 없는 것 또한 한 작품에 담긴 깊이와 가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이 도출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엘리자벳>은 몇 캐럿짜리 다이아몬드가 될 수 있을까.
사진제공. EMK뮤지컬컴퍼니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장경진 thr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