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국,무장 드론 나토 회원국 판매 추진(WSJ)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헬파이어 미사일 쏘는 '프레데터'와 '리퍼'가 무장 드론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미국 정부가 무장 무인공격기(드론. UAV)를 일부 동맹국에 파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무장 드론 판매는 이탈리아와 터키 등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어서 고고도 UAV 구매의사를 가졌던 한국은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자에서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무장 드론을 주요 동맹국에 판매하는 것을 조용히 추진해왔으나 미국 의회는 기술과 노하우의 확산을 염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국방부는 아프가니스탄이나 올해 리비아내 연합군의 공중작전과 같은 미래 분쟁에서 미국의 부담을 덜기 위해 나토의 더 많은 회원국들이 무인항공기를 갖기를 원하고 있다.

미국,무장 드론 나토 회원국 판매 추진(WSJ) 헬파이어 미사일을 장착한 무인기 프레데터 MQ-1
AD


미 행정부 관리들은 최근 나토회원국인 이탈리아와 터키에 대해 예상되는 무장 드론과 무기시스템 판매를 의회와 비공식 협의를 시작했으나, 여러 페르시아만의 미국 동맹국들은 미국 정부에 드론 판매를 승인할 것을 촉구해왔다고 이 관리들은 말했다.

미국은 그동안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에 비무장 드론을 판매해왔으나 무장 드론은 아프가니스탄에 대규모 군대를 주둔시키고 있는 영국에만 판매했다.


미 국방부의 판매제의는 다른 나라가 원격조종으로 군사적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해줄 기술확산을 가속화할지 않을지를 놓고 행정부와 의원들간에 막후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인권단체들은 오바마 정부가 전 세계에서 반군혐의자를 살해하는 데 드론을 사용하는 오바마 행정부를 비난하고 있다.


 미국은 최근 무인기를 활용한 공습 대상을 파키스탄에서 예멘, 소말리아 등지로 늘렸으나 미국 정부 내에서도 국방부와 중앙정보국(CIA), 국무부는 이를 놓고 옥신각신하고 잇다.
 민주당과 공화당 지도부는 드론 수출에 대한 행정부의 명확한 정책을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무기판매를 늘리기 전에 의회의 관련 상임위에 이 사실을 통보하도록 법으로 규정돼 있다. 미 의회는 나토 동맹국들에 대한 무기 판매는 신속히 승인했지만, 무장 무인기 판매는 철저한 검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미 관리들은 입을 모았다.


 상원 정보위원회 다이앤 페인스타인 의장(캘리포니아.민주)은 “미국은 특정 무기들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무인공격기를 그 범주에 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무인기 기술 확산에 대한 우려는 최근 미국의 정찰용 스텔스 드론 한 대가 이란에서 실종되면서 극에 이르렀다. 미국은 이란 당국이 이 무인기 기술의 일부를 베끼거나 혹은 수집한 정보를 중국과 러시아가 비슷한 스텔스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을 돕도록 공유하는 것을 염려하고 있다.


 외부 전문가들은 전쟁방식을 바꿀 무인기 기술의 확산이 가져올 영향을 백악관이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지적한다.


미국,무장 드론 나토 회원국 판매 추진(WSJ) 레이저 유도폭탄을 장착한 공격용 드론 MQ-9 '리퍼'


한편, 대표적인 무장 드론은 제너럴 어토믹스(General Automics Aeronautical Systems)가 제작한 MQ-1B ‘프레데터’와 MQ-9 ‘리퍼’가 있다.


미 공군 홈페이지에 따르면 프레데터는 무게 512kg에 길이 8.22m,너비 16.8m, 높이 2.1m로,총 204kg의 무기를 탑재하는 데 두발의 레이저 유도 AGM-114 헬파이어 미사일을 장착한다. 7.62km의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속도는 시속 84~135마일이다. 대당 가격은 2000만 달러


리퍼는 이보다 덩치도 크고 높이 날며 빠르다. 길이 11m,너비 20.1m,높이 3.8m,자체 무게 2.22t이다. 순항속도는 시속 230마일이며, 상승한도는 15.24km이다. 무장은 AGM-114헬파이어 미사일과 GBU-12페이브웨이 2,GBU-38 JDAM을 합쳐 1.7t의 무기를 탑재한다. 대당 가격은 5350만 달러




박희준 기자 jacklondo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