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시계아이콘03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선사마다 선호하는 선박 이름도 달라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박정희 대통령 부인인 육영수 여사(가운데)가 1974년 6월 28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과 변중석 여사(왼쪽에서 첫번째, 두번째)가 지켜보는 가운데 현대중공업이 첫 건조한 유조선에 '애틀랜틱 배런'을 명명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내가 그이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의 시 ‘꽃’의 일부다. 여기서 그를 그녀로, 몸짓을 철구조물로 시어를 바꾸면,

‘그녀(선박)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녀는 다만 하나의 철구조물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녀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녀는 나에게로 와서 꽃(배)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은 ‘꽃’에서 이름 불러주기를 하나의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이와 똑같이 선박을 명명하는 것도 철구조물에 하나의 의미를 부여하는 아주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수년에 걸쳐 완공된 선박은 이름을 붙여줌으로써 비로소 탄생하게 된다. 그만큼 선박건조의 마지막 단계에 행해지는 명명식은 아주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선박의 명칭에는 유래가 있다. 즉, 선박을 발주한 선주사들은 국가나 선종, 항로 등을 고려해 선박의 이름을 짓는데, 선주사마다 선호하는 이름이 있거나 뚜렷한 작명 경향이 있다. 선명은 크게 꽃, 동물, 그리스 로마신화의 여신, 추상명사, 보석, 행성 및 별자리 등 천문용어, 작위(직함), 산이나 강, 지명(항로), 숫자, 여자 이름 등으로 나눠진다.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무궁화’가 일본 배 이름에 쓰여= 배와 꽃은 다소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배가 여성이라는 점을 상기해보면 배와 꽃은 잘 어울린다. 여자가 꽃에 비유되듯이 배도 아름다운 꽃에 비유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선박 명칭에 꽃 이름을 사용하는 회사는 저팬라인이 유명하다. ‘무궁화’를 뜻하는 ‘앨씨어(Althea)’는 지난 1975년 9월에 인도된 저팬라인의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의 이름이다. 또한 저팬라인은 ‘카틀레야’(Cattleya, 양란의 일종), ‘샤프란’(Saffron, 가을에 피는 크로커스) 등 희귀한 꽃 이름을 배 이름으로 택했으며, 가와사키키센(K-Line)은 1975년에 인도된 VLCC에 ‘로터스(Lotus, 연꽃)’란 이름을 붙였다.


선박이 여성으로 비유되기 때문에 꽃 이름을 택했다는 설도 있고, 꽃을 좋아하는 일본 국민성을 반영한 것이라는 유래도 있다. 꽃 외에도 식물 이름도 종종 쓰이는데 홍콩 자딘(Jardine)은 ‘산 엉겅퀴(Mountain Thistle)’, 대만 양밍(Yangming)의 ‘난(Orchid)’ 등이 그 예다.


여성들이 좋아하는 보석(광물)도 선박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루비(Ruby, 홍옥), 사파이어(Sapphire, 청옥), 토파즈(Topaz, 황옥), 지르콘(Zircon), 제이드(Jade, 비취, 옥) 등의 이름을 가진 선박이 있다.


◆‘성공·번영·진보’ 인기= 선주사나 국적, 선종을 막론하고 빈번히 등장하는 단어들은 ‘도전’이나 ‘진보’, ‘번영’, ‘자신감’ 등 성공을 뜻하는 추상명사들이다. 지난 1978년에 인도된 R.아카디아의 로로선(Ro-Ro) ‘아틀란틱 프라스퍼(Atlantic Prosper, 대서양의 번영), INC의 ‘퍼시픽 프로그레스(Pacific Progress, 태평양의 진보, 1981년)’, 현대상선의 ‘퍼시픽 프라이드(Pacific Pride, 태평양의 자존심, 1985년)’와 ‘월드 석세스(World Success, 1985년)’ 들이 이러한 이름을 가진 선박이다. 기타 인내(Endurance), 자신감(Confidence), 신중함(Prudence), 야망(Ambition), 신뢰(Trust), 믿음(Reliance), 충실(Fidelity), 총명(Brilliance), 결의(Resolution)등 좋은 의미의 단어들이 인기 이름으로 나타났다.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한진해운이 지난 2009년 1월 29일 삼성중공업 거제 조선소에서 명명식을 거행한 최첨단 선박 한진 그디니아와 한진 애틀랜타호


신화 속의 여신도 배 이름으로 종종 등장한다. 유독 여신 이름만 사용하는 것은 배가 여성에 비유되는 또 다른 이유다. 노르웨이 라이프 훼그(Lief Hoegh)는 로마신화의 운명의 여신인 ‘포르투나(Fortua)’를, 미국 OSG는 불과 부엌의 여신 ‘베스타(Vesta, 그리스신화의 헤스티아)’, 미와 사랑의 여신 ‘비너스(Venus, 그리스신화의 아프로디테)’ 등을 배이름으로 선정했다.


영희, 순희 같은 흔한 여자이름이 배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스 리바노스의 ‘마리나(Marina)’, 독일 아쿠아리스의 ‘이자벨라(Isabella)’, ‘에러벨라(Arabella)’, ‘마리벨라(Maribella)’, OSG의 ‘루시(Lucy)’, ‘마틸다(Matilde)’ 등이 그렇다.


◆OSG는 천문용어 선호해= 현대중공업의 최대 고객사중 하나인 OSG는 다른 해운사들과 달리 까다로운 천문용어를 이용해 ‘특별한 이름’을 짓는 선사로 유명하다.


지난 1980년 현대중공업에 처음으로 발주한 벌크선을 ‘토성(Saturn)’으로 명한 이후 ‘명왕성(Pluto)’, ‘해왕성(Neptune, 로마신화에서 바다의 신을 의미)’, ‘천왕성(Uranus)’ 등 행성 이름을 따기도 했으며, ‘직녀성(Vega)’, ‘카노푸스(Canopus, 용골자리의 일등성)’ 등의 별자리를 비롯해 ‘자오선(Meridian)’, ‘춘·추분 분점(Equinox)’ 등 다소 어려운 천문용어를 이용했다.


또한 OSG는 이탈리아 태생의 미국 오케스트라 지휘자인 토스카니니(Toscanni)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와 함께 이탈리아 3대 천재 예술가로 꼽히는 ‘라파엘(Raphael)’을 선명으로 택했다. 선박 명칭을 결정하는 오너가 이탈리아 문화와 예술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추측할 수도 있다.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현대중공업 명명식


◆거대한 배에 벌(Bee) 이름을= 배 이름에는 꽃을 비롯한 식물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동물이 등장하기도 한다.


콩알보다 작은 벌(Bee)에서부터 커다란 곰(Bear)까지 크기와 종류는 다양하다. 커다란 배에벌이라니 아이러니하다. 부산-후쿠오카를 오가는 한일 쾌속선 이름이 ‘비틀’(Beetle, 딱정벌레)인 것을 감안해보면 배 이름과 곤충 이름도 ‘어울릴 것 같지 않음’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충분하다.


현대중공업이 칠레 오델로 쉬핑에 1977년에 인도한 액화석유가스(LPG) 저장선 이름은 ‘행복한 벌(Happy Bee)’인데, 선종을 고려해 볼 때 환경(자연)친화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도 추측된다.


싱가포르 탱커 퍼시픽은 ‘매(Falcon)’, ‘독수리(Eagle)’, ‘매(Hawk)’ 등 조류 중에서도 힘세고 빠르기로 유명한 독소리과나 매과 새의 이름을 따기도 했다. 뭐니뭐니해도 동물의 왕은 사자(Lion)다. 사자는 OSG를 비롯 다양한 선주사의 선명에 등장했으며, 영국 보아는 ‘스프링 베어(Spring Bear)’라는 이름으로 따뜻한 봄날의 곰을 연상시켰다. 이밖에 ‘꿩(Pheasant)’, ‘솜털오리(Eider)’나 ‘수달(Otter)’ 등이 등장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운사들도 선사 마다 선박을 짓는데 있어 차별점이 보인다.


현대상선은 초기에 숫자를 넣은 배 이름을 지었다. ‘현대1호’, ‘현대2호’, ‘아시아 1호’, ‘아시아 2호’하는 식이다. 적어도 20여년을 운항하는 배에 붙이는 이름치고는 너무 즉흥적이고 단순했다. 현대상선은 한동안 이렇게 숫자로 배 이름을 짓다가 이후에는 대체로 도전, 웅장, 대륙 등 중후장대한 그룹의 이미지를 담은 이름을 사용했다. ‘도전자(Challenger)’, ‘탐험·개척가(Explorer)’, ‘개척자(Pioneer)’등이 그 이름이다.


현대상선이 1996년 5월 말부터 인도한 컨테이너선 7척은 항로의 특성에 맞춰 이름을 지었는데, 이 배들이 운항할 미주항로를 상징하는 ‘독립(Independence)’, ‘자유(Liberty)’, ‘발견(Discovery)’, ‘자유(Freedom)’등이 그렇다.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한진해운의 경우 1호선은 창업주 조중훈 회장의 호를 따 ‘정석호’로 지어졌으나 그 이후부터 기항지를 중심으로 한진 함부르크호, 한진 뉴욕호, 한진 평택호 등의 방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한진해운은 배가 늘어나 더 이상 기항지 이름을 사용할 수 없게 되자 지난 96년 3월부터 인도되기 시작한 5300TEU(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급 컨테이너선부터 각국의 수도 이름을 따서 짓고 있다.


대한해운은 저팬라인과 마찬가지로 거칠게만 느껴지는 선상생활을 부드럽게 해주자는 뜻에서 꽃 이름을 따 자스민호, 무궁화, 아카시아호 등으로 짓고 있다.


미국의 APL은 ‘프레지던트 워싱턴’, ‘프레지던트 루스벨트’ 등 역대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붙이다가 세금 감면을 위해 배의 국적이 싱가포르로 옮겨지고부터는 기항국 이름을 따 짓기 시작해 ‘코리아’라는 이름도 들어있다고 한다.


나이지리아 NNSL는 ‘케라와강(River Kerawa)’, ‘지미니 강(River Jimini)’, ‘이솝강(River Asab)’, ‘마다강(River Mada)’ 등 강 이름을 택했는데, 같은 아프리카 대륙의 국가인 가나의 BSL도 ‘토노강(Tono River), ‘볼타강(Volta River)’, ‘시씰리강(Sissili River)’ 등을 사용해 아프리카 국가 사이에 공통점을 보였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독일의 라인강이나 에베레스트산, 아마존도 상징적인 의미로 종종 등장했다.


◆선박에도 계급이 있다= 사회적 계층을 나타내는 작위도 선박 이름에 흔히 쓰인다. 선박을 인격화함으로써 명성이나 위엄을 나타내고자 한 의도다. 현대중공업이 최초로 인도한 그리스 리바노스의 ‘아틀란틱 배런(Atlantic Baron)’에서 배런은 영국 귀족계급의 다섯번째 계급인 ‘남작’을 뜻하며 확대된 의미로 왕이란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그밖에 ‘공작(Duke)’, ‘공주(Princess)’, ‘왕자(Prince)’, ‘왕(King)’, ‘기사(Knight)’, ‘집정관(Archon)’, ‘사령관(Commander)’, ‘상원의원(Senator)’, ‘제독(Commodore)’등 사회적 지위나 권력과 관련된 용어가 배 이름으로 쓰였다.


[배 이야기] “꽃에서 직녀성까지···” 선박 명칭도 갖가지 (왼쪽부터) 테드 페트론 나비오스 그룹 사장, 정홍준 성동조선해양 회장, 안젤리키 프란고우 나비오스 마리타임 회장, 김영민 한진해운 사장과 부인 김상미 여사가 지난해 10월 20일 열린 선박 명명식에 참석해 박수치고 있다.


작위나 직업과 관련된 용어 중 아주 특이한 것도 발견된다. 네덜란드 P&O 네들로이드의 ‘P&O 네들로이드 쿡(P&O Nedlloyd Cook)’에서 Cook은 요리사란 뜻이며, 노르웨이 BBSL은 1984년 두 척의 로로선을 인도해 갔는데 두 선박의 이름은 ‘바버 탬파(Baber Tampa)', ‘바버 텍사스(Barber Texas)’로 모두 이발사(Barber)로 시작한다.


용맹성을 표현하기 위해 때론 호전적인 단어를 쓰기도 한다. ‘전사(Warrior)’, ‘검투사(Gladiator)’, ‘사냥꾼(Hunter)’, ‘싸우는 자(Fighter)’, ‘헥터(Hector, 트로이전쟁에 나오는 용사)’, ‘거인(Giant)’등이 그 예다.


상선은 최대한 물량을 많이 싣고 이윤을 많이 남겨야 한다. 즉 만선(Full Road)이 중요하단 말이다. 만선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그리스 세레스는 다산, 비옥함을 뜻하는 ‘퍼틸리티(Fertility)’, 중국 시노트랜스(Cinotrans)는 수확을 뜻하는 ‘하비스트(Harvest)’란 단어를 선명으로 택했다.


이렇듯 건조, 인도된 선박을 보면 뚜렷한 작명 경향이 나타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름을 잘 지어야 운도 트이고 출세한다는 말은 비단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선주사의 염원이나 뜻을 담은 하나의 의미를 가진 이름을 달고 처녀출항을 하는 선박들이 때문에 명명식이 거행되면 선박들의 이름을 관심있게 보는 것도 재미거리다.
<자료: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STX조선해양·한진중공업·성동조선해양>




채명석 기자 oricm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 25.04.0608:00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파나마 운하 둘러싼 미중 패권대결…난처해진 홍콩재벌

    최근 파나마 운하 항구 운영권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 간의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홍콩 재벌 리카싱 회장이 양국의 압력 속에서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리카싱이 이끄는 CK 허친슨 그룹은 파나마 운하 항구 2곳의 운영권을 미국 투자기업 블랙록에 매각하려 했으나, 중국 정부의 강력한 압박으로 최종 계약 단계에서 보류하게 되었다. 이는 단순한 비즈니스 거래를 넘어 글로벌 해양 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치열한 경쟁의

  • 25.04.0508:00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中, 반년만에 대만포위 재개…트럼프 관세공격에 맞대응

    중국이 6개월 만에 대만 포위 훈련을 재개하면서 동북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번 훈련은 미국이 전 세계를 향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시점과 맞물려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은 라이칭더 대만 총통을 '독충'으로 표현하며 대만에 대한 군사적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대만군에 따르면, 자국 해안 일대에서 발견된 중국 함선은 군함 13척, 경비정 4척을 포함해 총 71척에 달했다. 또한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4.0814:57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은행장도 벌벌 떤다… '금융판 중대재해법'

    #시중 은행 고위 임원 A씨는 올해 들어서 전국의 지점에서 올라오는 크고 작은 문제들을 매일 보고 받는 중이다. 책무구조도를 도입하면서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의 작은 지점에서 벌어지는 1000원 단위의 작은 계산 착오 문제까지 본인에게 책임이 돌아올 수 있는 상황이라 신경 써야 할 일이 배로 늘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 B씨는 최근 금융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만날 때마다 책무구조도와 관련된 하소연을 듣는 일이 많아

  • 25.04.0806:10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④신한·우리, 내부통제 실효성 강화…농협·하나, 내부통제 문화 정착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은행장도 벌벌 떤다… 올해부터 시행되는 금융판 중대재해법①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②"밑에서 몇백억 떼먹어도 책임지는 경영자 없어"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 25.04.0806:10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③해외선 이미 도입된 제도…"차등규제" 목소리도

    편집자주올해부터 금융권에 '책무구조도'가 도입되면서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 각자가 내부통제 대상 업무의 범위와 내용을 스스로 명확히 설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반복되는 금융사고에 대응해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이 제도를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강화된 책임 부담과 징계 우려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작은 실수 하나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크다. 이번 기획에서는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