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적점유율 11% 기록…판매량 둔화 방어
하반기 가격 상승 압력·관세 인상 등 변수
현대자동차그룹이 올해 미국 시장 점유율을 11%까지 끌어올렸다.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선수요 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장 둔화 폭을 최소화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하반기에는 가격 상승 압력,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9일 시장조사업체 워즈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해 1~5월 미국에서 총 75만2778대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 11.0%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10.5%) 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 현대차가 40만116대로 5.8%, 기아가 35만2662대로 5.2%를 나타냈다.
현대차·기아의 누적 점유율은 올해 1월 10.5%(11만6362대)로 출발해 2월 10.6%(24만7243대), 3월 10.7%(41만9909대), 4월 10.8%(58만2527대)로 꾸준히 올랐다.
현대차·기아가 미국 시장 점유율을 높인 데에는 관세 부과 전후 상황을 잘 활용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지난 3~4월 자동차 판매가격 인상에 대비해 차량 구매를 서두른 미국 소비자들의 '패닉 바잉'에 잘 올라탔다는 것이다.
실제 현대차·기아의 지난 4월 판매 증가율은 16.3%로 업계 평균(11.1%)을 웃돌았다. 특히 하이브리드차(HEV) 판매량이 2만6134대로 65.8% 급증했다.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체적으로 주춤했던 지난달에도 현대차·기아는 둔화 폭을 최대한 줄였다. 현대차·기아의 5월 판매 증가율은 한 자릿수인 6.7%에 그쳤으나 미국 전체 판매량 증가율(2.5%)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이다.
다만 하반기까지 호조가 이어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관세 발효를 앞두고 비축했던 '비관세 재고'가 소진되면서 미국 판매가격 인상 압력이 커지고 있어서다. 앞서 포드는 멕시코 생산 차종에 대한 가격 인상을 결정했고, 도요타는 다음 달부터 미국 판매 가격을 평균 270달러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 뜨는 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추가 인상할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나는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그 관세를 (더) 올릴 수 있다"며 "(관세가) 더 높을수록 그들(수입차 브랜드)이 이곳에 공장을 지을 가능성이 커진다"고 말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