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직후 많은 국회의원 이끌고 해제
野, 김문수·한덕수 후보교체 파동
항소심 심리 대선 이후로 연기
이재명 대통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것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치러진 조기 대선의 특수성과 무관하지 않다. '내란 심판'과 '민주주의 회복'이라는 기치를 든 이 대통령의 정치적 명분에 공감한 유권자가 많았다는 얘기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맞은 보수 진영이 이번 대선 과정에서 친윤(친윤석열)계와 비윤계, 찬탄(윤 전 대통령 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으로 나뉘어 내홍을 겪었고, 후보 단일화 파동으로 국민적 실망감을 준 것도 이 대통령의 독주 체제를 강화했다.
이 대통령을 당선으로 이끈 결정적인 순간은 12·3 비상계엄 사태가 꼽힌다. 윤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 본회의장에 가장 먼저 도착한 정당 대표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지만 가장 많은 국회의원을 이끈 이는 더불어민주당 대표였던 이 대통령이다. 이 때문에 2016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국면에서 성남시장이던 이 대통령이 광화문 촛불 집회에서 뿌린 탈권위주의·민주주의 투사의 씨앗이 비상계엄 해제로 만개했다는 평가도 당시 나왔다.
이 대통령은 20대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에게 석패한 후에도 민주당 대표를 지내며 3년간 윤석열 정부의 실책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당시 발목잡기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이 대통령은 비상계엄 이후 '내란극복' '민주주의 회복' '진짜 대한민국'을 슬로건을 적극 활용하며 '정권 심판론'을 식지 않게 했고, 민주당 경선부터 대선까지 낙승을 만들어냈다.
두 번째 대통령 탄핵으로 국민의힘에 대한 심판론이 부는 와중에도 자중지란에 빠지며 빅텐트가 무산된 것도 이 대통령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비상계엄 국면 직후 국민의힘은 계엄 해제를 이끌고 윤 전 대통령 탄핵·출당을 요구한 한동훈 전 대표를 사퇴하게 만들며 민주당 등 진보 진영이 주장하는 '내란 옹호 세력' 프레임에 스스로 갇혀 버렸다. 이후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 과정에서도 반탄이 우세한 가운데 찬탄과 다투는 극심한 당내 갈등 상황을 지속적으로 노출했다.
후보 단일화 파동도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김문수 대선 후보가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를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김 후보와 한 전 총리가 단일화 룰을 두고 충돌한 끝에 무산됐다. 이에 국민의힘 지도부가 강제로 한 전 총리로 후보를 교체하려다 실패하며 일부 보수층과 중도층의 실망을 줬다. 특히 국민의힘은 이 대통령의 가족논란·사법리스크 등 '반이재명'을 선거전략으로 내세웠으나 계엄과 당내 갈등 상황에 대한 처절한 반성을 보이지 못하면서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에 실패했고, 결국 이 대통령 당선에 영향을 끼쳤다.
지금 뜨는 뉴스
대선 국면에 돌입한 상황에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1일 대법원의 유죄취지 파기환송으로 위기를 맞았으나 역설적이게도 사법부의 대선 개입, 윤석열 정부의 야당 탄압으로 비쳐 진보층을 결집하게 했다. 특히 파기환송 후 항소심을 맡은 서울고법 형사7부가 이 대통령에 대한 심리를 대선 이후인 이달 18일로 미루면서 사법리스크가 일부 해소되며 선거 운동에 탄력이 붙었다.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