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진수식 중 좌초한 북한의 5000t급 신형 다목적 구축함에 대한 복구 작업이 상당 수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각) 북한 전문매체인 38노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일 촬영된 상업 위성사진에선 넘어진 5000t급 구축함이 바로 세워진 모습이 포착됐다. 좌초 사고가 발생한 지 약 2주 만이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넘어진 구축함에서 해수를 빼내는 데 2~3일, 선체 측면을 복구하는 데는 10여일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배를 바로 세우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29일 촬영된 위성사진에서는 작업자들이 부두 위에서 배에 연결된 것으로 보이는 밧줄을 당기고 있는 모습이 포착됐다. 또 선체 한쪽 측면에만 30개 이상의 풍선이 배치된 것이 관측됐다.
당초 이를 두고 선박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해석되었지만, 실제로는 선박을 다시 세우기 위한 장치였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38노스의 분석이다.
실패한 측면 진수 당시에는 선두가 진수 장치에 걸려 나아가지 못하고 선미만 물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일 사진에서도 선두는 여전히 육지에 있는 상태다.
또 지난달 29일 사진에서는 선두의 소나(음파 탐지기) 부분이 손상된 것으로 추정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를 수리하기 위해선 선박을 완전히 물에서 빼낸 뒤 대형 플로팅 도크나 건선거(dry dock) 등으로 옮겨야 하는데, 청진 조선소에는 이를 수행할 설비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 뜨는 뉴스
38노스는 "현재 배는 바로 세워졌지만, 선두가 여전히 진수 장치 위에 걸려 있는 상태로 선두를 먼저 수리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고 평가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