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21일 오전 대치 상황 녹화
시민·계엄군 대치 속 긴장감 고조돼
기록관 "진상규명 핵심 자료 쓰일 것"
1980년 5월 21일 계엄군의 집단 발포가 발생하기 직전 오전 시각 시민들과 계엄군의 대치 상황을 녹화한 필름이 45년 만에 공개됐다.
5·18민주화운동 기록관은 최근 1980년 5월 21일 광주 금남로 일대에서 문제성(70)씨가 직접 촬영한 미공개 희귀 영상기록물을 기증받았다고 27일 밝혔다.
기록관은 이날 오전 시사회를 열고 문 씨로부터 기증받은 5분 40초 분량의 8㎜ 필름 영상을 공개했다.
기록관이 영상을 분석한 결과 해당 필름은 46개에 나눠 녹화됐다. 영상에선 1980년 5월 21일 전남도청 앞 집단 발포 직전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촬영된 금남로 일대의 모습을 담고 있다. 영상에선 당시 금남로에서 벌어진 시위대와 시민들의 모습, 계엄군과의 대치, 상공을 선회하는 헬리콥터와 군용 수송기 등이 생생하게 담겼다.
또 영상 속에는 당시 구용상 광주시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시민들을 설득하려다 야유를 받고 내려오는 장면, 계엄군에 의해 살해된 시민의 시신 2구를 리어카에 실어 옛 전남도청으로 향하는 장면, 계엄군의 최루탄에 흩어지는 시민들, 전남도청 앞 계엄군과 시민들이 대치했던 장면이 포함됐다. 이재의 5·18기념재단 연구위원은 "해당 장면은 집단 발포 직전 시민들과 계엄군 간의 고도 긴장된 상황이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영상은 당시 25세의 나이로 사무용 기기를 주로 만드는 업체에 재직하던 문 씨가 촬영했다. 초파일 휴일을 맞아 영상 녹화 장비를 챙겨 거리로 나온 문 씨는 당시 금남로에 세워진 아치형 구조물에 올랐다. 아치형 구조물은 19회 전남체전·61회 전국체전 선수단 응원 차원에서 설치됐다.
문 씨는 "처음엔 중요한 영상이라곤 생각하지 못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유품을 발견해 우연히 1980년 5월 찍은 영상을 발견하게 됐고, 기록관에 기증하게 됐다"며 "당시 필름의 한계로 녹화 분량이 얼마 되지 않아 아쉽다. 정확한 진상규명을 위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록관은 기증받은 필름 영상이 계엄군에게 실탄이 분배됐을 것으로 보이는 시점에 촬영돼 향후 진상규명 과정의 핵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광주시민들이 계엄군을 바라보는 각도에서 촬영된 왜곡이 없는 녹화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밖에 현재까지도 행방이 묘연한 리어카 속 시신에 대한 행방을 추적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내다봤다.
기록관 관계자는 "기존에 공개된 영상물은 계엄군 측에서 촬영됐거나, 일부 시간적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번 영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보존돼 있어 타임라인 구성이 용이했다"며 "발포가 있던 날 오전 상황에 대해 계엄군 측 진술 진위 등 진상규명을 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기록관은 디지털 복원과 해제 작업을 거쳐 영상을 일반에 공개하고 향후 교육, 전시, 연구, 홍보 등 다방면에 걸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