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공급망 구축·미래산업 대응 방향 논의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과 함께 스페이스웨어 서울역 센터에서 '지역혁신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중기부는 올해 초부터 '지역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산업계, 학계 전문가와 혁신적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운영해오고 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로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인공지능(AI) 제조혁신 공급망 구축'과 '미래산업 대응 및 지속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정책 방향'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복합적 구조 변화 속에서 지역의 자생력 확보와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회의는 총 2건의 발제를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이후 종합토론을 통해 지역 현장 중심의 다양한 정책 제언이 이어졌다.
첫 번째 발제에서 정종석 GIP 전략연구소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경제력 및 혁신역량 격차가 지속 확대돼 지방소멸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지역거점별 신산업 기반의 AI 제조혁신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 소장은 "국가정책의 초격차·전략산업과 연계된 지역의 10대 미래먹거리 산업에 속하는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은 국가 균형발전과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AI 기술과 10대 미래먹거리 산업 간 융합을 통한 혁신제조생태계 조성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약 3만개의 지역 중소벤처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중기부를 포함한 범부처의 예산과 정책 수단이 집중적으로 투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발제는 김상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지역중소기업혁신팀장이 '미래산업 대응과 지역 지속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정책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팀장은 "지역 중소기업은 지역 고용의 중심이며, 산업 생태계 유지와 균형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지방정부, 대학, 혁신기관 간의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 주도의 자립 기반 마련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의 혁신 역량 저하와 지역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앵커 기업 육성을 위해 중기부 주도의 기업 성장 중심 정책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며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지역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범부처 연계를 위한 정책 네트워크 확립이 필요하다"고 했다.
참석자들은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경제 성장의 토대는 지역 경제의 회복에 있으며, 이를 위해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이 필수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격차를 줄이고 대한민국 제조업의 르네상스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데 공감이 형성됐다.
아울러 AI, 반도체,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 등 미래 신산업과 지역 중소기업 간 연계 전략의 중요성도 논의됐으며 지역별 산업 특성, 인력 수급, 정주 여건 등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중요성도 함께 논의됐다.
노용석 중소기업정책실장은 "이번 라운드 테이블은 AI 도입, 디지털전환 등 급변하는 대외 환경변화와 지역 특성과 산업 기반을 반영한 실질적 정책 대안을 모색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제시된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후속 정책 설계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중기부는 앞으로도 민간전문가 참여의 라운드테이블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지역 현장의 정책 수요와 아이디어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지역 주도의 중소·벤처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