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축 정책에도 1인당 36㎏ 배출
총량 726만㎏·처리비 13억 넘어
학생 실천교육 부재에 실효성 논란
시민단체 “타 시도 본받아 대책 시급”
광주지역 학교급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당국의 감축 정책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은 여전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교육청과 각 교육지원청을 상대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보한 '2020~2024년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발생 및 처리비용' 자료에 따르면, 1인당 평균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2020년 18.13㎏에서 2024년 36.14㎏으로 증가했다. 총발생량도 같은 기간 약 380만㎏에서 726만㎏으로 급증,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은 약 13억7,000만원에 달했다.
광주시교육청은 2021년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을 10% 줄이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각종 교육과 지침을 도입했지만, 실제로는 해마다 증가세가 이어졌다. 학벌없는사회는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거나 교육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교 급식실은 학생들이 매일 마주하는 공간이자, 기후 위기 대응과 식생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실천 교육의 현장이다. 하지만 현재의 운영 방식은 이러한 교육적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지금 뜨는 뉴스
단체는 "타 시·도의 우수 사례를 적극 검토해 실질적인 감축 대책을 수립하고, 식생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며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예산 낭비를 막고, 학생들이 환경 의식을 갖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 당국이 책임 있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보현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