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건설업 '고용 한파'에 일자리 급감
기업 '경력직 선호' 현상 영향도
제조업·건설업에서 '고용 한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의 경력직 선호 현상이 심화하면서 올해 초 20대 후반 취업자가 약 12년 만에 가장 크게 감소했다.
1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후반(25~29세) 취업자 수는 242만명으로, 1년 전보다 9만8000명 감소했다. 이는 2013년 3분기(-10만3000명) 이래 가장 큰 폭 감소다. 코로나19 사태 영향으로 취업자가 감소했던 2020년보다 더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2023년 1분기 이후 9분기 연속으로 전년 동기대비 감소하고 있다. 감소 폭 역시 작년 3분기 4만4000명, 작년 4분기 6만2000명에 이어 올해 1분기까지 3분기 연속으로 확대됐다.
20대 후반 취업자는 청년층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가파르게 감소하는 모습이다. 올해 1분기 20대 후반 인구는 6만9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취업자와 실업자를 포괄하는 경제활동인구는 8만5000명 감소했고, 경제활동참가율도 1.0%포인트(p) 줄었다.
20대 후반 실업자는 1만3000명, 실업률은 0.6%p 각각 증가했다. 실업자와 실업률 증가 폭도 전분기보다 확대됐다. 인구가 줄어든 정도 이상으로 취업자와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실업자와 실업률은 증가했다.
취업자도, 구직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20대 후반에서 1분기 1만6000명 증가했다. 이 연령대 청년층의 비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한 것은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이중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는 1만8000명가량 늘어나면서 4개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20대 후반 고용 부진은 제조업, 건설업 취업자가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1만2000명 줄며 2020년 11월(-11만3000명) 이후 4년4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9개월 연속 감소세다.
건설업 취업자 감소도 11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는 작년 동월보다 18만5000명 급감하면서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로 최대 감소 폭을 나타냈다.
지금 뜨는 뉴스
기업들이 신규 채용 대신 경력직 채용을 선호하는 경향 역시 청년층의 취업난을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경영 환경이 악화하는 가운데 기업들이 즉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지난달 2월 한국은행 고용분석팀 채민석 과장과 장수정 조사역이 발표한 '경력직 채용 증가와 청년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의 경력직 선호 현상으로 비경력자가 한 달 내로 상용직(정규직)에 취업할 확률은 평균 1.4%로 경력직 평균 2.7%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