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당지기' 이어 행정혁신 가속화
Chat GPT 기반 보도자료 작성
핵심정보 입력하면 초안 자동 생성
인공지능(AI) 대표도시 광주시가 AI 직원 1호 'AI 당지기'에 이어 2호 'AI 대변인'을 도입해 관심을 끌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대시민 소통 핵심 창구인 보도자료 초안을 작성하는 'AI 대변인'을 도입, 직원들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과 동시에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행정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시는 직원 누구나 손쉽게 보도자료를 작성할 수 있도록 AI 직원 제2호 'AI 대변인'을 채용했다. 'AI 대변인'은 챗지피티(Chat GPT)를 기반으로 보도자료 서식, 작성 기준, 표현 가이드를 반영해 핵심 정보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초안을 생성하는 AI 챗봇 서비스다. 데이터정보화담당관 부서 공무원이 별도 예산 투입 없이 올해 자체 개발했다.
특히 유형별 보도자료 서식을 갖춰 다양한 보도자료 작성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으며, 맞춤법 자동 수정 기능도 제공해 보도자료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AI 대변인' 서비스를 통해 직원들이 보도자료 작성 역량 강화와 함께 업무 효율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AI 대변인'은 기존 인공지능 기술이 단순 상담이나 민원 안내에 국한되던 것과 달리 단순한 문서 자동화 수준에서 벗어나 보도자료 작성 업무에 인공지능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병철 기획조정실장은 "AI 직원 2호 'AI 대변인'을 통해 보도자료 작성 품질과 속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행정 혁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며, AI 기술을 행정 전반에 적극 도입해 시민 중심, 시민을 위한 AX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시는 앞서 지난해 8월 특·광역시 최초로 특별채용한 'AI 당지기'를 도입, 당직 민원의 84%를 처리하는 등 행정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AI 당지기'는 실시간으로 당직 전화를 응대(음성·보이는ARS)한 뒤 5개 자치구, 종합건설본부 등 해당 민원 처리기관에 자동 연결하거나, 담당 부서에 전달하는 등 민원 편의성 제고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광주시는 'AI 당지기' 도입으로 직원 당직제를 폐지하고, 24시간 상시 운영하는 재난안전상황실에 당직 전담 인력을 추가 배치해 통합 운영하는 등 효율성을 입증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