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美 수출기업부터 소부장 중소기업까지 타격
납품물량 감소, 수익성 악화 등 경영 우려 제기
오는 2일로 예정된 미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제조기업 10곳 중 6곳, 특히 주요 수출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른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107곳을 상대로 실시한 '미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제조기업 60.3%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른 영향권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46.3%로 집계됐다.
관세 부과로 타격을 입는 기업으로는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중국에 부품·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까지 관세 영향권에 들어가는 것이다.
'관세 폭탄' 영향권에 속한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배터리(84.6%)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소재·부품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다수 포함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밖에도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 업종이 관세 영향권에 속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12일 철강·알루미늄 품목에 관세 25%를 부과한 데 이어 같은 달 26일 자동차·부품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자동차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가운데 대미 수출 비중이 46%를 차지했는데, 여기에 멕시코 등 국가에서 생산한 뒤 수출하는 물량까지 합산하면 약 70만~90만대의 물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우리 기업들은 이 같은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납품 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대미 수출기업들이 해당되는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등이 꼽혔다.
관세 타격이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 수준에 대한 질문에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 모색 중(29.0%)'이라고 답한 기업이 74.5%에 달했다. 보다 근본적인 대응책으로 '현지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20.8%였다.
특히 소재·부품·장비 협력사와 같은 중소기업들의 대응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향권에 들어가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24.2%)이 '대응계획 없다'고 답했다.
상의는 지난달 26일 발표된 자동차 관세를 예로 들며 "대부분 중소기업인 부품 업종은 대미 수출 감소, 완성차 수출 감소로 인한 '부품 수요 감소', 다른 국가들이 관세를 피해 국내 시장 등으로 '물량 밀어내기를 할 가능성' 등으로 관세 영향권에 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미국 관세가 현실화한 상황에서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 공세 등 간접 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기르기 위해 기업환경을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