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니켈 가공기술 대상
지정 땐 정부가 외국기업 매각 '제동' 가능
MBK 해외 재매각 원천 차단 해석
고려아연이 MBK파트너스와 영풍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맞서 자사의 이차전지 핵심 원료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만약 MBK파트너스에 경영권이 넘어가더라도 외국 기업으로의 매각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5일 고려아연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자사가 보유한 전구체 제조 기술을 국가핵심기술로 지정해달라는 판정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술은 하이니켈 전구체 가공 특허 기술로, 자회사 켐코와 공동 보유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궁극적으로 재매각을 통한 이익 실현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중국 등 외국 기업에 매각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국가핵심기술로 지정된 기술은 정부 승인 없이는 외국 기업에 인수될 수 없다.
MBK파트너스는 중국 기업에 매각은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는 있다.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은 지난 24일 기자회견에서 "(중국에 팔지 않겠다는 MBK파트너스 측 주장은) 믿을 수 없다"며 "중국이 세계 비철 생산의 절반을 하고 있는데 당연히 중국으로 (기술이)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금 뜨는 뉴스
고려아연 관계자는 "국가핵심기술 판정과 관련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문위원회 개최를 비롯해 표준절차를 진행하는 등 내부검토를 완료한 뒤 판정을 내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