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2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 발표
68.8% 한국 문화콘텐츠 마음에 들어
'오징어 게임'·'기생충' 넘을 화제작 없어

외국인 열 명 가운데 일곱 명이 한국 문화콘텐츠를 반겼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2일 해외 한류 실태조사(지난해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해외 주요 나라의 한류 콘텐츠 이용 현황과 인식을 가늠하는 지표다. 조사 대상은 미국, 중국, 일본 등 스물여섯 나라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자 2만5000명.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출판, 웹툰, 게임, 패션, 미용, 음식 등 열한 분야에 관한 생각을 수집했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응답자의 68.8%는 한국 문화콘텐츠가 마음에 든다고 답했다. 호감도는 인도네시아(86.3%), 인도(84.5%), 태국·아랍에미리트(83.0%), 베트남(82.9%) 순으로 높았다.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긍정적이었다.


응답자의 45.9%는 1년 전보다 한국 문화콘텐츠를 향한 관심이 컸다. 대표적인 나라는 이집트(67.6%)와 인도(67.1%), 사우디아라비아(65.1%). 중동에서 비교적 호감도가 높아졌다. 관심이 비슷하다는 응답자는 43.5%였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서울 광화문광장에 마련된 서울 컬처 스퀘어에서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K-팝 관련 부스에 줄을 서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는 K-팝(17.2%)을 가장 많이 꼽았다. 2017년부터 변함없는 흐름이다. 그 뒤는 한국 음식(13.2%), 드라마(7.1%), 정보기술(IT) 제품·브랜드(6.3%), 미용 제품(5.2%)이 차례로 이었다.


한국 문화콘텐츠를 경험하고 한국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는 '긍정으로 변화'가 66.1%, '변화 없음'이 30.1%, '부정으로 변화'가 3.8%였다. '긍정으로 변화' 비율이 유독 높은 나라는 아랍에미리트(85.9%)와 인도(85.3%), 베트남(84.7%). 반면 일본(38.8%)과 이탈리아(48.7%)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1인당 월평균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은 11.6시간이었다. 인도(18.6시간), 태국(18.4시간), 인도네시아(17.0시간), 베트남(16.4시간) 순으로 많았다. 반면 일본(4.4시간), 캐나다(5.8시간), 호주(6.2시간), 이탈리아(6.3시간) 등은 10시간이 채 되지 않았다. 문체부 관계자는 "한국 문화콘텐츠 소비량이 높은 나라가 한국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부정적인 시각도 32.6%로 적지 않았다. 주요 사유로는 '지나치게 자극·선정적(24.9%)', '획일적이고 식상(22.0%)', '지나치게 상업적(21.1%)' 등이 거론됐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선호하는 드라마로는 여전히 '오징어 게임'을 첫손에 꼽았다. 응답 비율은 2021년 21.2%에서 9.0%로 감소했다. 2위는 '더 글로리(3.4%)', 3위는 '킹더랜드(2.6%)'였다. 문체부 관계자는 "'오징어 게임'이 유럽(23.7%)과 미주(8.3%)를 중심으로 인기를 누렸다면, '더 글로리'는 아시아·태평양(5.4%)에서 인기를 끌었다"고 부연했다. 선호하는 영화도 5년째 '기생충(7.9%)'과 '부산행(6.0%)'이었다. 이를 넘어서는 화제작이 나오지 않은 탓이다.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7년 연속 'K-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한국산 제품·서비스에 관한 관심도 조사에선 절반 이상(50.7%)이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집트(75.6%), 사우디아라비아(73.0%), 아랍에미리트(72.9%), 베트남(72.1%), 인도(70.7%) 등의 관심이 높았다. 제품·서비스별로는 식품(64.7%), 한국 방문(61.8%), 음식점 식사(61.4%), 화장품(54.0%), 의류구매(52.8%) 순으로 높았다. 반면 일본(41.7%), 이탈리아(20.4%), 스페인(20.8%)은 '구매 의향이 없다'는 답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한류가 제품·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물음에는 57.9%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인도네시아(81.4%), 베트남(78.6%), 사우디아라비아(74.5%)에서 중요시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K-콘텐츠 소비가 식품, 화장품, 의류 등 연관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며 "K-콘텐츠 해외 진출을 확산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했다.



문체부는 올해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비즈니스센터를 스물다섯 곳으로 확대하고, 일본에 콘텐츠 기업이 입주하는 기업지원센터를 마련한다. 더불어 한국 문화를 상시 홍보하는 '코리아 360'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개설하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K-콘텐츠와 연관산업 소비를 잇는 'K-박람회'를 개최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