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스시로, 항공유업체와 폐식용유 공급 협약
이산화탄소 저감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아
일본 회전초밥 프랜차이즈 스시로가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가공해 비행기 연료로 재활용한다고 발표하면서 일본 안팎에서 주목받고 있다. 향후 전체 항공유 수요의 10%를 충당할 수준으로 폐식용유 가공을 늘릴 것이라 밝힌 가운데 재활용 항공유에 따른 저탄소, 비용절감 등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12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스시로와 이자카야 프랜차이즈 스기다마를 운영하는 푸드앤라이프컴퍼니(F&LC)는 매장에서 나온 폐식용유를 ' 지속가능 항공연료(SAF)'의 원료로 공급하겠다고 지난 5일 발표했다. 외식업계 최초로 맺은 협약이다.
SAF는 생활 폐기물, 폐식용유, 해조류 등을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유다. 석유, 석탄 등 화석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존 항공유 대비 최대 80%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F&LC는 전국 680여개 매장에서 튀김에 사용한 폐식용유를 관련 업체에 공급할 예정이다. 폐유 재활용 업체인 레보인터네셔널이 이를 수거하고 JGC 홀딩스가 SAF 제조 플랜트로 운반, 사파이어스카이에너지가 SAF 제조를 맡는다.
F&LC에 따르면 공정을 거쳐 연간 90만ℓ의 폐식용유가 75만ℓ의 SAF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생산은 내년부터 들어가며, 2025년 일본 내 항공사 공급이 목표다.
이는 일본 정부 정책과도 맥을 같이하는 사업이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항공사가 사용하는 연료의 10%를 SAF로 대체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SAF의 대부분은 해외에서 들여오는 실정이다. 일본은 SAF의 원료인 폐식용유를 해외에 연간 10만여t 수출하고 있지만, 정작 국내 생산 SAF가 차지하는 비율은 1%도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국산 SAF 제조를 위한 공급망 구축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지금 뜨는 뉴스
니시무라 유키 JGC 홀딩스 SAF 사업부 매니저는 “국내에서 생산된 SAF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협력이 필수적이다. 자원 재사용 측면에서 산업 간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전진영 기자 jintonic@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