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야, 다음 외나무다리는 '적폐청산 國監'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민주당 MB·박근혜정부 블랙리스트 등 대대적 조사 착수
한국당 여당의 언론장악 문건 조사 요구하며 반격 노려


여야, 다음 외나무다리는 '적폐청산 國監' 박원순 서울시장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적폐청산위원회의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검찰 고소·고발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부애리 기자] 김명수 대법원장 인사청문보고서 채택과 인준안 처리로 미뤄졌던 여야의 적폐청산에 속도가 붙고 있다. 추석 연휴 이후 열리는 국정감사에서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적폐청산위원회를 통해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여론조작부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이르기까지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했다. 자유한국당은 민주당의 '언론장악' 문건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며 반격을 노리고 있다.

민주당은 화력을 총동원해 집중하고 있다. 19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적폐청산위원회 6차회의에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례적으로 참석했다.


박 시장은 이날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국정원법 위반과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키로 했다"며 "검찰에 엄중한 수사를 촉구하며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철저히 수사해서 책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시장은 "이명박 정권 동안 추진했던 정책 모두 거부를 당했는데 무상급식, 마을 공동체 사업, 복지 예산 확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그야말로 제압당했다"면서 "국가의 근간 흔들었으며 기나긴 헌신으로 만든 민주정부 수립 허사로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는 이명박 정부 시절 '서울시장의 좌편향 시정운영 실태 및 대응방안'과 '좌파의 등록금 주장 허구성 전파' 등 소위 '박원순 제압문건'을 국정원이 작성했으며 관련한 심리전 활동도 수행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국정원이 2009년 9월과 2010년 9월에도 당시 박원순 변호사에 대한 비판활동을 수행하고 원 전 원장에게 보고한 사실도 확인한 바 있다.


이날 진선미 민주당 의원은 "2013년 4월 원세훈의 국정원 '박원순 제압문건'을 공개하면서 의견서를 내고 검찰에도 찾아갔지만 5개월 만에 아무 소용없이 각하됐다"며 "박원순 시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고소·고발하는 만큼 이번에는 제대로 수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민주당은 최근 공영방송 파업 사태와 검찰 조사가 진행중인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와 관련해서도 검찰의 수사를 촉구했다.


민주당은 지난 15일 우원식 원내대표를 포함해 소속 의원 121명이 이명박, 박근혜 방송장악 언론적폐사건 관련 국정조사 요구서 제출했다.


특히 공영방송 파업과 관련해서는 여야 모두 국정조사 대상을 어디까지로 할 것인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물론 이명박, 박근혜 정부와 김대중·노무현 정부까지 거론하며 여야가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한국당도 지난 12일 민주당의 '언론장악' 문건에 대해 국회에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했다.


이 문건에는 '언론적폐 상징인 MBC·KBS 사장 및 이사장·이사진에 대한 지속적이고 구체적 대응이 필요하며 방송사 구성원 및 시민단체, 학계 중심의 사장 퇴진운동 전개'한다는 구체적인 지침이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실무자가 의원과 논의하기 위해 워크숍 준비용으로 만든 것으로 당의 공식 문건이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한국당은 국감에서 검증하겠다며 벼르고 있다.


여야, 다음 외나무다리는 '적폐청산 國監'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