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메르스 사태]김용익 "메르스 낙관론, 세 가지 조건 성립돼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홍유라 기자] 김용익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1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에 대해 "정부가 낙관론을 너무 서둘러 피는 것은 좋지 않다"면서 "아직은 예측하기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국회 메르스특별위원회의 야당 간사이자 예방의학과 전문의 출신인 김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 전화인터뷰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낙관론을 정부가 얘기하다가 잘못되는 일이 생기면 국민들 너무 실망하실 것"이라며 '적어도 세 가지 조건이 성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낙관론의 조건으로 "평택 성모병원·서울 삼성의료원 같은 제 3의 메르스 병원이 출연하지 않아야 하고, 각 병원으로 산발적으로 퍼져가는 흐름이 잡혀야 하며, 지역 사회의 감염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고 언급한 뒤 "세 가지 조건이 다 충족될지는 기다려 봐야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10일 구성을 완료한 메르스특위의 활동 방향에 대해 전방위적 활동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하나는 복지부가 메르스를 잡으려 애쓰고 있으니 그 부분의 점검에 함께 협조해야 될 것이고, 두번째는 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외 교육부의 휴교, 경제 손실 문제, 관광 손실 문제 등이 일파만파 번져 가고 있어서 여러 부처를 점검 해봐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한 "광주 유니버시아드 대회처럼 국제 대회가 앞으로 여러 개 있는데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각종 법령 정비를 이참에 잘 해서 향후에 이런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환자나 격리자의 진료비·생계비 지원, 병원 손실 지원과 함께 평택처럼 초토화되어 버린 지역에 대한 지원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정부의 사전대비가 너무 부족했던 게 통탄할 일"이라는 김 의원은 감염병 연구 병원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환자 발생하면 어디에 수용하느냐의 문제가 있다"면서 "질병관리본부가 있는 오송에 감염병 전문 연구 병원을 하나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더불어 "시·도별로 공공병원이 하나씩은 있어야 한다"면서 "민간 병원만 가지고는 대응이 정말 어렵다는 게 (이번 메르스 사태로) 입증됐다"고 꼬집었다.






홍유라 기자 vand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