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개특위 출범 앞둔 與野, 농어촌 의원 불만 잠재우기 고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여야가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출범을 앞두고 농어촌 지역구 의원 불만 잠재우기에 고심하고 있다.


이번 정개특위는 지역구 최대ㆍ최소 인구 편차를 3대1에서 2대1로 줄여야 한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선거구 획정을 논의해야 하는데, 여야가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구 의원들을 정개특위에서 배제하기로 합의하면서 해당 지역구 의원의 불만이 팽배해졌기 때문이다. 헌재의 결정대로라면 농어촌 지역구 대부분이 통합 대상이 돼, 다음 총선에서 공천을 놓고 경쟁을 벌일 가능성이 크다.

농어촌 지역구 의원들의 가장 큰 불만은 선거구 획정이라는 중대한 문제에 정작 당사자의 의사를 전달할 통로가 없다는 점이다. 정개특위 참여를 유일한 해결방법으로 여겼는데, 여기서 배제될 경우 더 이상 관철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농어촌 지방 주권지키기 의원 모임 간사를 맡고 있는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은 "인구 뿐 아니라 행정구역도 선거구 획정에서 필요한 요소라는 점을 누차 강조하고 있지만 정개특위에 들어가지 못한다면 누가 우리 얘기를 귀담아 들어주겠냐"고 반문했다.

특히 여야 가릴 것 없이 이해당사자들이 모두 정개특위에서 빠지면서 상대 당의 정치적 텃밭 지역구를 모조리 통폐합한다고 해도 이를 실질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장치도 전혀 없다. '눈뜨고 코베는' 상황이 벌어져도 할 수 있는 게 전혀 없다는 점도 불만을 더욱 키우는 요소다.


여야는 이들을 만족시킬만한 방법을 찾고 있지만 아직까지 묘안을 떠올리지 않고 있다.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16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해당사자들을 배제하기로 여야가 합의해 농어촌지역 의원들의 불만이 큰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어떻게 의견을 반영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조해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의견을 반영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반드시 그렇게 만들 것"이라면서 "정개특위 회의가 열리면 해당 지역구 의원들을 참고인으로 출석시켜 의견을 듣도록 하는 방법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황영철 의원은 "정개특위 위원이 아닌 이상 진술이 얼마나 구속력이 있는지 의문이다"면서도 "일단 통로가 만들어진다면 최선을 다해 의견을 개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