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기전투기 'F-35A 40대' 유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차기전투기 'F-35A 40대' 유력 록히드마틴사의 F-35 스텔스전투기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공군 차기전투기(FX)사업 최종기종으로 미국 록히드마틴사의 F-35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21일 국방부는 "합참의장과 육ㆍ해ㆍ공군 참모총장 등이 참여하는 22일 합동참모회의에서 FX 작전요구성능(ROC)과 구매 대수, 전력화 시기 등 차기전투기 소요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군은 차기전투기 소요는 60대를 유지하되, 40대를 1차 도입하며, 내부 무장창 등 군 요구성능(ROC)을 강화하는 방안을 합동참모회의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참모회의에서 공군의 소요요청을 수용하면 후보기종은 F-35가 유력하다. F-35를 도입하려면 정부 간 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이 적용된다.


군당국이 F-35의 도입물량을 60대에서 40대로 축소한 가장 큰 이유는 가격때문이다. 차기전투기 총사업비는 8조3000억원이지만 60대를 도입하게 되면 2조원을 초과하게 된다. 하지만 F-35를 40대 구입한다면 총사업비는 내년도 예산안의 환율 기준 1120원을 적용해 7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총사업비 관리지침에 따라 차기전투기 사업비를 20% 범위에서 증액할 수 있다.


하지만 육군과 해군에서 다른 방위력개선사업에 영향을 미친다며 난색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이때문에 군안팎에서는 1차 도입분으로 F-35를 결정한 뒤에 FX 4차사업을 곧바로 진행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FX 3차사업에 F-35를 도입이 이달안에 결정되도 전력화 시기는 공군의 요청에 비해 1∼2년 늦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