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주U대회, 미리 가본 ‘선수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장승기 ]

광주U대회, 미리 가본 ‘선수촌’
AD


스포츠를 통해 세계가 하나가 되는 자리인 2015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이하 광주U대회)에는 170개국에서 선수, 임원, 기자단 등 2만명이 광주를 찾게 된다.

18일 광주U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대회 참가 선수들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해 최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쾌적하고 편안한 선수촌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선수촌은 대회 참가선수들이 경기가 없을 때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면서 재충전하는 장소로 대회의 이미지 형성과 성공 여부를 판가름 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다.

광주U대회 선수촌은 35개동 3726세대가 머무를 수 있는 거주구역을 비롯해 공동구역, 국제구역, 운영구역 등 4개 구역으로 나눠져 대회 전후를 포함해 20일 동안 운영하게 된다.


선수촌을 처음 방문하는 선수들은 공동구역인 출입 안내센터에서 참가 선수등록과 인증절차를 거친 후 선수촌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혜택을 받게 된다.


선수촌 내 시설로는 전문의사의 진료, 도핑검사, 한방치료 및 물리치료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과 한식, 아시아식, 유럽식, 채식 등 선수들 취향에 맞는 식단으로 선수들의 체력을 보충시켜주는 식당이 갖춰진다.


또 세탁소, 미용실, 은행, 우체국, 사진관 등이 운영될 예정이며, 북카페, PC방, 멀티미디어룸, 노래연습장, 비디오감상실, 전자오락실 등 편익시설로 선수들의 여가공간도 마련된다.


이밖에도 휘트니스, 당구장, 탁구장 등의 체육시설과 다양한 종교관을 설치, 선수들의 취미와 신앙생활을 하는데도 불편함이 없도록 준비한다.


선수촌 문화광장에서는 B-boy, K-pop 공연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 지구촌 젊은이들이 소통과 화합의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경기정보센터에서는 대회기간 동안 경기정보를 선수들이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케이블 TV를 통해 진행 중인 경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서구 화정동에 건설되고 있는 선수촌은 재건축 방식으로 건립된다.


광주U대회의 4가지 비전(평화, IT, 문화, 친환경) 중 하나인 친환경대회로 치르겠다는 의지가 반영돼 있으며, 대규모 국제대회 사상 세계 최초의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지난해 9월 착공한 선수촌은 2015년 3월까지 준비되며, 시범운영을 거쳐 7월 대회에 맞춰 개촌될 예정이다.




장승기 기자 issue989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