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주영 "물가관리, 정부 환율·금리분야에서 일정 역할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 이주영 한나라당 신임 정책위의장은 12일 물가급등 사태와 관련, "통화량 수급 조절을 포함해 환율안정 부분에 정부가 일정 부분 역할을 해야 되는 것도 있기 때문에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물가안정을 꼭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기름값을 포함해서 원자재값 상승 등 외부요인도 만만치 않아 정부로서도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이같이 밝혔다.

이러한 언급은 물가관리를 위해 당이 주도적으로 나서 금리인상, 환율하락 등의 조치를 정부 당국에 선제적으로 요구하겠다는 것. 한나라당이 4.2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당 우위의 당정청 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실현 가능성이 주목된다.


이어 서민정책 추진과 관련, "무엇보다 민심이 국정에 제대로 반영돼야 된다. 친서민적인 정책 수립은 현장에서부터 나오도록 돼있다"며 "정책도 당이 주도해야 된다. 국민의 목소리를 한나라당이 잘 대변해서 정부와 청와대에 확실히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잘 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전월세 상한제 도입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 "전월세가 급격히 오르는 현상들로 서민들이 상당히 고통을 받고 있어 상당 부분 정부에서 규제가 필요하지만 음성적 거래 등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며 "한나라당 주거안정 TF의 논의를 수렴하고 임대주택 공급확대 등 다른 정책수단까지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법인세 인하 반대 등 감세철회 주장과 관련, "서민복지 확대를 위한 재원 확보가 필요하고 4.27 재보선 과정에서 나타난 민심을 반영하기 위해 정책 기조를 좀 더 친서민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고려에서 정책기조 전환의 한 화두로 제시했다"며 "정책의총을 통해서 의원들의 의견을 모아서 추진해나갈 생각"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금융감독원의 감독 검사권 독점을 분산하자는 주장과 관련, "지금 문제되고 있는 저축은행 사태에서 모럴헤저드가 금융감독기관의 부실에서 만들어진 것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며 "검토를 해봐야 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김성곤 기자 skzer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