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철강제조 핵심설비 잇단 국산화 성공

레이더 웰더 자체 개발 등700억원 절감 및 수입대체 효과[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포스코가 조업 노하우와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철강제조 핵심설비를 잇달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 20일 포스코에 따르면 이번에 국산화에 성공한 레이저 웰더(Laser Welder)는 냉연 제품 제조 프로세스에서 연연속 작업을 하기 위해 선행코일 뒷부분과 후행코일 앞부분을 절단 후 용접하기 위한 고가의 핵심 설비다. 이전까지는 관련 기술을 보유한 독일 기업으로부터 설비를 전량 구매했으나 이번에 포스코가 독자적으로 국산화에 성공함으로써 700억원의 설비 투자비 및 소모품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이번 국산화로 국내 철강기업의 핵심 기술에 해당하는 철강 성분 정보가 해외 레이저 웰더 제작사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 것도 큰 성과다. 철강재를 자르거나 붙이기 위해서는 제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레이저 웰더 제조사가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관련기술이 해외로 빠져나갈 여지가 있어왔다. 이 설비는 냉연 제품의 품질 균일화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가 이번에 개발한 레이저 웰더는 레이저 절단 방식을 사용, 절단면이 직각이고 깨끗해 용접의 정밀성이 높아졌다. 포스코는 지난 해부터 연구개발에 착수해 1년 반만에 국산화에 성공했다. 지난 9월 포항제철소 1냉연공장에 시범 설치한 결과 우수한 조업 실적을 보여줌에 따라 국내외에서 필요한 레이저 웰더 60여개를 전량 개발품으로 교체 설치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이번에 개발한 레이저 웰더 설비를 포스코ICT를 통해 국내외에 판매할 계획이다. 포스코ICT는 기존 해외 제조사보다 가격 경쟁력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이에 앞서 포스코는 철강제품의 폭을 측정하는‘Strip 폭계’와 냉연강판의 미세한 구멍을 측정하는 ‘Pin Hole Detector’등의 국산화에도 잇단 성공을 거뒀다. 두 설비 모두 지난 2009년 개발을 마치고 올해부터 본격 판매에 나섰다. 포스코 관계자는 "앞으로도 조업과정에서 습득한 노하우가 실제 개발 및 설비 투자와 판매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철강기술 컨퍼런스 등을 통해 회사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조슬기나 기자 seul@<ⓒ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조슬기나 기자 seul@ⓒ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