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패닉바잉' 재확산…서울 아파트 10채 중 4채 2030이 샀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7월 거래비중 44.8% 역대 최고
30대, 40대 제치고 연령별 1위

'패닉바잉' 재확산…서울 아파트 10채 중 4채 2030이 샀다
AD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2030 세대의 ‘패닉바잉’이 확산하고 있다. 집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어지 않으면서 불안감을 느낀 젊은층이 너도나도 ‘영끌 매수’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서울의 경우 거래절벽 상황에서도 집값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올들어 거래된 아파트 10채 중 4채이상을 20~30대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아파트 거래 현황에 따르면 올들어 7월까지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신고일 기준) 3만4045건 가운데 30대가 매수자인 경우는 1만2550건으로 36.9%를 차지했다.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비중이다. 20대 이하(5.0%)를 포함하면 30대 이하 매수 비중은 41.9%로 높아진다. 올해 서울 아파트 10채 중 4채를 30대 이하 젊은층이 사들인 셈이다. 30대에 이어 40대가 26.2%, 50대 15.5%, 60대 8.8%, 70대 이상 5.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30대 이하의 거래 비중은 2019년까지만 해도 31.8%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집값이 급등하면서 37.4%로 높아졌다. 올 들어서는 7월까지 42%에 육박하며 불과 2년 만에 10%포인트 넘게 껑충 뛰었다. 집값 상승 바람에 조급해진 젊은 층이 기존 주택 시장을 주도하던 40대를 제치고 아파트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른 것이다.


월별로 보면 30대의 거래 비중은 올해 1월 39.6%로 부동산원이 연령별 통계를 발표한 2019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이후 2월 35.9%로 낮아졌으나 3월 36.1%로 다시 높아졌고, 4월 34.1%, 5월 36.7%, 6월 35.2%, 7월 39.5% 등 34∼40%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30대 이하로 범위를 넓히면 이들의 거래 비중은 작년 8월 40.4%로 처음 40%대에 오른 뒤 올해 1월 44.7%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3월 40.1%, 40.6%로 40% 선을 유지하다가 4월 39.3%로 살짝 내렸고 5월 다시 42.1%로 상승하며 40%대로 복귀했다. 6월 40.7%로 살짝 떨어졌으나 7월 다시 44.8%로 튀어 오르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경기·인천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관측된다. 올해 거래된 경기도 아파트 12만4391건 중 35.8%를 30대 이하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19년 28.6%, 2020년 30.4%에 이어 올해 35% 선을 넘긴 것이다. 인천의 경우 올해 거래 3만3524건 중 32.6%가 30대 이하 거래였다. 2019년까지만 해도 이 비율이 27.1%였는데, 올해 처음으로 30%대로 올라섰다.



김효선 NH All100자문센터 부동산수석위원은 "집값 급등으로 내집마련의 불안감을 느끼는 2030세대는 4050세대보다 경제적 자유에 대한 의지와 근로소득을 자본소득으로 전환하는 것에 관심이 높다"면서 "따라서 실수요와 투자수요가 공존하고 있으며 기성세대보다 적극적인 매입 성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실수요는 3기신도시 사전청약과 우수한 입지의 빌라 및 신축 오피스텔 매입에, 투자수요는 비규제지역 저가 아파트, 수도권 외곽지역 소형 재정비 대상 주택, 전매 가능한 분양권 등에 쏠리고 있어 하반기 2030세대의 시장 참여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