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PB수첩]정책변화의 소용돌이 속 부동산 상속·증여 시장의 변화된 흐름

시계아이콘01분 55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인욱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 웰스매니저(WM)

[PB수첩]정책변화의 소용돌이 속 부동산 상속·증여 시장의 변화된 흐름
AD

올해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됐지만 정작 가장 주목받았던 상속·증여세 개편안은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기획재정부가 추진했던 상속·증여세 최고세율 인하안(50%→40%)과 최저세율 구간 확대안이 부결되면서 현행 세율 체계가 그대로 유지됐다. 이런 '현상유지'와 새 정부 출범 이후 나타난 각종 정책변화가 부동산 자산을 둘러싼 세대 간 이전전략에 적잖은 변동성을 가져오고 있다.


대출규제에서도 변화를 예고하는 신호가 뚜렷하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부동산 대출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3단계 시행으로 더욱 엄격해지고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제한도 확대된다. 주택담보대출 최장 만기가 50년에서 30년으로 단축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역설적으로 부모세대의 자금지원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KB부동산 2024 보고서는 청년층 내집마련 과정에서 가족자금 지원비율이 뚜렷하게 올라갔다고 분석한다. '영끌족'이라 불리는 청년층이 증여세 부담에도 사전증여를 선택하는 흐름이 계속 강화되는 배경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상속·증여세 부담 역시 완화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2023년 상속세 과세인원은 1만9944명으로 2021년(1만2749명) 대비 5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결정세액은 12조3000억원으로 151% 급증했다. 증여세를 보면 전체 신고건수는 2021년 15만6000건에서 2023년 약 10만건으로 줄었지만 직계존·비속 증여 비중은 59%에서 61%로 높아졌다. 절대 건수는 감소했어도 가족 내부 이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커졌다는 의미다.


하지만 현행 증여세 공제 한도는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으로부터 성인자녀에게는 5000만원(10년 합산)에 그친다. 강남 아파트가 평당 1억원을 넘어선 현실에서는 30평 아파트 한채도 공제범위에 들지 않는다. 이에 부모 세대는 자녀명의 주택구입, 10년 단위 분할증여, 부부별 증여 등으로 공제 한도를 극대화하며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의 정책 변화와 불확실성 속에서 자산가들은 어떤 시나리오를 세워야 할까. 우선 증여 시점을 10년 단위로만 보지 말고 '주택가격·주택정책·고객생애주기'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부동산 가격이 단기에 10% 이상 뛰는 시기, 공제 확대 법안이 재논의되는 시기, 자녀의 결혼·출산·유학 등 큰 현금 수요가 겹치는 시기를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최적의 타이밍을 포착할 수 있다. 올해 3월 정부·여당이 직계존·비속 공제한도를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하는 법안을 재발의한 만큼 다면화된 고려는 더욱 중요하다.


신탁을 활용한 계단식 이전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행 신탁법·상증세법은 '원본 유지·수익 분리형' 관리신탁을 허용한다. 예컨대 부모가 보유한 임대용 빌딩을 신탁회사에 맡긴 뒤 자녀에게 임대수익만 순차적으로 분배하면 건물을 직접 증여할 때보다 과세표준이 낮은 현금 흐름으로 한정된다. 동시에 장기간 임대료 수익은 인플레이션 헤지이자 자녀 DSR 보강 수단이 된다.


'부채 승계 증여'도 재조명되고 있다. 대출이 남은 아파트를 자녀에게 넘기면서 채무까지 함께 인수시키면 과세표준이 순자산가치로 줄어든다. 다만 금융기관이 명의변경을 불허할 가능성이 있어 사전 협약과 공정가액 평가가 필수다.


가족법인에 부동산을 귀속시키고 초기 저평가된 지분을 자녀에게 증여한 뒤 개발·리모델링으로 가치를 끌어올리는 '지분희석' 전략이 고액 상속인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다. 2028년 예정된 유산취득세 전환이 현실화하면 수증자별 분리 과세 덕에 이 전략의 세율이점이 더 커질 수 있다.


상속세 재원 마련용 생명보험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유동화가 어려운 자산을 보유한 채 상속이 개시되면 '패닉 세일'을 피할 방법이 필요하다. 사망보험금을 법정상속인이 수령하도록 설계하고 10년 이상 유지하면 보험차익 과세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험금 자체가 납세 자금이 되는 레버리지 효과도 크다.


올해는 부동산 상속·증여 환경이 다층적으로 재편되는 해다. 정책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자산가들은 더욱 신중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현행 세율 체계가 유지되는 동안 절세 여지를 최대한 활용하되, 향후 정책 변화가 주는 기회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부동산이 여전히 한국 가계의 핵심 자산인 만큼 세대 간 자산이전은 단순한 세무이슈를 넘어 가족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 결정이다. 변화하는 규제 환경 속에서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타이밍·유동성·거버넌스'의 삼각축을 튼튼히 세울 때 다음 변동 국면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자산 관리가 가능해질 것이다.


AD

이인욱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 웰스매니저(WM)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7.1207:30
    유명 베이커리 '반값'에 수백명 몰렸다…22만명 이용하는 '럭키밀'
    유명 베이커리 '반값'에 수백명 몰렸다…22만명 이용하는 '럭키밀'

    편집자주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가공식품 물가가 4.1%(전년 동기대비) 오를 동안 빵 물가는 6.4%나 상승했다.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38.48로 기준연도인 2020년(100)과 비교할 때 5년간 38.48% 올랐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간식인 떡볶이, 치킨보다도 더 가파르게 올랐다. 빵은 한때 누구나 즐기던 간식이었지만, 지금은 선뜻 고르기 어려운 가격이 됐다. 어쩌다 한국의 빵값은 계속 가파르게 오르게

  • 25.07.0615:24
    프랜차이즈 크림빵 집었다 '헉'…동네마다 가격이 왜 달라?
    프랜차이즈 크림빵 집었다 '헉'…동네마다 가격이 왜 달라?

    편집자주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가공식품 물가가 4.1%(전년 동기 대비) 오를 동안 빵 물가는 6.4%나 상승했다.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38.48로 기준연도인 2020년(100)과 비교할 때 5년간 38.48% 올랐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간식인 떡볶이, 치킨보다도 더 가파르게 올랐다. 빵은 한때 누구나 즐기던 간식이었지만, 지금은 선뜻 고르기 어려운 가격이 됐다. 어쩌다 한국의 빵값은 계속 가파르게 오르게

  • 25.07.0506:30
    내가 먹던 그 크림빵, 사려다 '멈칫'..."1900원짜리가 왜 여기선 2500원이죠?"
    내가 먹던 그 크림빵, 사려다 '멈칫'..."1900원짜리가 왜 여기선 2500원이죠?"

    편집자주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 5월 가공식품 물가가 4.1%(전년 동기대비) 오를 동안 빵 물가는 6.4%나 상승했다.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38.48로 기준연도인 2020년(100)과 비교할 때 5년간 38.48% 올랐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간식인 떡볶이, 치킨보다도 더 가파르게 올랐다. 빵은 한때 누구나 즐기던 간식이었지만, 지금은 선뜻 고르기 어려운 가격이 됐다. 어쩌다 한국의 빵값은 계속 가파르게 오르게

  • 25.06.3014:25
    2000원 빵으로 2000억 빵빵…<br>성심당 매출 '빵' 터진 비결은
    2000원 빵으로 2000억 빵빵…<br>성심당 매출 '빵' 터진 비결은

    올해 2000억원 매출 돌파를 앞둔 대전의 대표 빵집 '성심당'은 2000원짜리 빵을 팔면 500원을 남긴다. 대기업 프랜차이즈는 한 자릿수, 이름이 알려진 지역 빵집이라도 10%를 간신히 넘기는 빵집 영업이익률과 비교하면 장사를 잘하는 셈이다. 마케팅비에 특별히 많은 돈을 쏟아붓는 것도 아니다. 지난해 성심당의 매출액 대비 판관비 비율은 21% 수준으로 40%대를 넘어서는 대기업 프랜차이즈들과 차이가 크다. 성심당은 어떻게 매

  • 25.06.2915:27
    하루 500개씩 팔리는 '천원 빵집'…"오후 3시 가면 못삽니다"
    하루 500개씩 팔리는 '천원 빵집'…"오후 3시 가면 못삽니다"

    편집자주통계청이 발표하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5월 가공식품 물가가 4.1%(전년 동기 대비) 오를 동안 빵 물가는 6.4%나 상승했다.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38.48로 기준연도인 2020년(100)과 비교할 때 5년간 38.48% 올랐다. 한국인이 사랑하는 간식인 떡볶이, 치킨보다도 더 가파르게 올랐다. 빵은 한때 누구나 즐기던 간식이었지만, 지금은 선뜻 고르기 어려운 가격이 됐다. 어쩌다 한국의 빵값은 계속 가파르게 오르게 됐을

  • 25.07.1408:00
    관악산 가기 편해진 '신림선'?…서울 곳곳 박아 넣는다는데, 빚만 쌓이네⑥
    관악산 가기 편해진 '신림선'?…서울 곳곳 박아 넣는다는데, 빚만 쌓이네⑥

    편집자주교통 접근성 세계 16위 도시 서울의 다른 얼굴은 교통이라는 편의에 닿는 격차 역시 큰 도시라는 점이다. 교통망의 비약적 확충은 지역 균형이라는 목표를 추구했지만 한쪽에선 과밀화, 다른 한쪽에선 사각지대를 낳았다. 75년 대중교통의 역사를 가로질러 이제는 인공지능(AI) 교통 시스템이 구축되는 시대가 도래했지만 교통 빈곤층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교통 격차는 삶의 질 불균형을 낳는다. 아시아경제가 그 실상을

  • 25.07.1408:00
    ⑧한계 찍은 교통행정, 수요 맞춤형으로 새 판 짜야
    ⑧한계 찍은 교통행정, 수요 맞춤형으로 새 판 짜야

    경전철과 마을버스 등 중소 규모 교통망의 위기는 수요와 공급이 어긋나면서 시작했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교통 서비스의 불균형으로 이동권 보장이 더 어려워진다는 데 문제가 있다. 교통약자 보호를 위해 새 정부가 세밀한 교통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이유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중교통 이용률은 41%다. 폴란드(39%), 오스트리아(34%), 일본(30%) 등을 제치고 세계 1위다. 최근

  • 25.07.1408:00
    ⑦승합차로 바꿨다…적자로 굴러가는 마을버스
    ⑦승합차로 바꿨다…적자로 굴러가는 마을버스

    서울 중랑구 중화동과 신이문역을 오가는 마을버스 '중랑01'은 지난해부터 차량을 승합차 스타리아로 바꿨다. 운영 적자 때문이다. 그래도 적자 탈출은 먼 길이다. 노선 운영사 약수교통 관계자는 "인건비도 못 뽑는다"고 했다. 경전철이 수요 예측에 실패하면서 결과적으로 시민 불편을 초래했다면, 마을버스도 재정 문제를 풀지 못하면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마을버스 승객은 코로나19로 급감한 이래 회복하지

  • 25.07.0708:00
     보고서 하나 남기고 사라졌다…고령화 앞둔 대한민국, 교통 전략은 실종[新교통난민 보고서]③
    보고서 하나 남기고 사라졌다…고령화 앞둔 대한민국, 교통 전략은 실종[新교통난민 보고서]③

    편집자주교통 접근성 세계 16위 도시 서울의 다른 얼굴은 교통이라는 편의에 닿는 격차 역시 큰 도시라는 점이다. 교통망의 비약적 확충은 지역 균형이라는 목표를 추구했지만 한쪽에선 과밀화, 다른 한쪽에선 사각지대를 낳았다. 75년 대중교통의 역사를 가로질러 이제는 인공지능(AI) 교통 시스템이 구축되는 시대가 도래했지만 교통 빈곤층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교통 격차는 삶의 질 불균형을 낳는다. 아시아경제가 그 실상을

  • 25.07.0708:00
    ④김영태 OECD ITF 사무총장 "메가시티, 한계 직면했다"
    ④김영태 OECD ITF 사무총장 "메가시티, 한계 직면했다"

    김영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교통 포럼(ITF) 사무총장은 서울을 포함한 세계 대다수의 메가시티가 교통 체계 한계에 직면했다고 봤다. 교통을 빠르고 편리함을 위한 수단으로만 접근해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지 못했다고 판단한다. OECD 내에서 교통정책을 담당하는 장관급 회의체 'ITF' 수장인 김 사무총장이 7일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교통은 그 자체보다 국토개발, 지역개발, 도시개발 차원에서 이를 지원하는 하위

  • 25.07.1306:00
    푸틴이 준 권총으로 자살?…러 교통부장관 의문사
    푸틴이 준 권총으로 자살?…러 교통부장관 의문사

    러시아의 로만 스타로보이트 교통부 장관이 지난 7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으로부터 해임 통보를 받은 지 수 시간 만에 자신의 차량에서 숨진 채 발견되면서 러시아 정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현장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과거 공로상으로 그에게 수여한 권총이 발견됐고, 당국은 그의 자살로 결론지었다. 그러나 러시아 안팎에서는 타살 가능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러시아 언론들이 현직 장관의 사

  • 25.07.1206:00
    美 양당제에 도전장 내민 머스크…아메리카당 성공할까
    美 양당제에 도전장 내민 머스크…아메리카당 성공할까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돌연 제3당 창당을 선언하며 미국 정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는 지난 5일 '아메리카당(America Party)' 창당을 발표하고 6일 당국에 신고했다고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당 운영 계획이나 정책 방향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이번 창당 선언은 머스크가 정부효율부 수장직을 사임하고 테슬라 경영에 전념하겠다고 밝힌 지 한 달여 만에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특히 트

  • 25.07.1010:12
    한동훈, 전당대회 출마할까…강전애 "나온다" VS 김준일 "안 나온다"
    한동훈, 전당대회 출마할까…강전애 "나온다" VS 김준일 "안 나온다"

    강전애 국민의힘 대변인과 김준일 시사평론가가 7월 9일 아시아경제 'AK라디오'에 출연해 각종 이슈에 대해 생생토크했다. 김준일 평론가는 "한동훈 전 대표가 당 대표 선거에 안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지만, 강전애 대변인은 "결국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준일 : 한동훈 대표는 안 나올 가능성이 좀 더 크다. 여러 사람 만나면서 의견을 청취하는데 한 7 대 3 정도로 나가지 말라고 얘기하고 있다. 그런데 본인은 굉장

  • 25.07.0811:16
    홍익표 "박찬대·정청래,'명심(明心) 경쟁' 하면 안 돼"
    홍익표 "박찬대·정청래,'명심(明心) 경쟁' 하면 안 돼"

    홍익표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3선)가 지난 4일 오후 4시, 아시아경제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현재 동국대 특임교수로 있는 홍 전 의원은 "균형감 있고 열심히 소통한다"고 이재명 정부 한 달을 평가하며 "특검 수사로 국민의힘 의원들 상당수가 조사 대상, 몇 명은 기소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민주당 당권 경쟁과 관련해서는 "더 이상 명심(明心·이재명 마음) 얘기는 안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바라

  • 25.07.0608:00
    덴마크도 여성징병제 시행…전세계 양성징병제 확산
    덴마크도 여성징병제 시행…전세계 양성징병제 확산

    덴마크가 7월 1일부터 여성 징병제를 본격 시행한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여성 징병제 확산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이미 노르웨이와 스웨덴이 여성 징병제를 시행하고 있어 덴마크까지 포함하면 북유럽 3개국이 여성 징병제를 도입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의 군사 위협 증가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병력 부족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각국의 안보 위기감이 고조되면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