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의심 시 즉시 제거·폐기 권고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10일 최근 도내 멜론 재배지에서 멜론괴저반점바이러스(Melon Necrotic Spot Virus) 발생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예방과 초기 대응법을 안내했다.
해당 바이러스는 종자나 오염된 토양, 곰팡이균(Olpidium spp.), 감염 식물의 즙액 접촉 등을 통해 전염된다. 또 확산 속도가 매우 빨라 한 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운 바이러스성 병해로 분류된다.
초기 감염 시에는 어린잎에 작은 황화 반점이 생기고, 진행되면서부터는 잎 전체에 갈색 괴저 증상과 함께 결국 고사에 이르는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한 병해로,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건강한 종자나 유묘를 사용하는 것이 우선이다.
감염이 의심되는 개체는 즉시 제거하거나 폐기해 인근 식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
또 정식 전에는 토양 소독을 철저히 시행하고, 순지르기나 유인 등 농작업에 사용되는 도구는 작업 전후 반드시 소독해 사용해야 한다.
지금 뜨는 뉴스
권미경 과채연구소 수박·멜론팀장은 "바이러스의 차단은 단순한 방제를 넘어선 체계적인 농장 위생 관리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철저한 실천만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만큼 농가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충청취재본부 표윤지 watchdo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