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광공업 줄며 산업생산 감소
미 관세 영향으로 자동차 4.2%↓
소매판매 0.9%↓…내구재 등 줄어
설비투자 0.4%↓·건설기성 0.7%↓
지난달 전산업 생산과 소매판매, 설비투자가 모두 줄었다. 지난 1월 이후 석 달 만에 트리플 감소를 기록하며 지지부진한 경기 상황을 나타냈다. 현재의 경기 흐름과 전망을 내다볼 수 있는 동행종합지수·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소폭 상승 흐름을 보였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8% 감소했다. 지난 1월(-1.6%) 낙폭을 그린 뒤 2월(0.7%)과 3월(0.9%)에 증가 흐름을 보였지만 석 달 만에 다시 줄었다.
공공행정과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에서 모두 생산이 줄었다. 광공업은 기계장비(2.6%) 등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을 받은 자동차(-4.2%)와 반도체(-2.9%) 등에서 감소했다. 제조업만 떼서 보면 재고는 전월 대비 보합세를 유지했지만 평균 가동률은 73.8%로 0.7%포인트 하락했다. 평균 가동률이 하락한 것은 지난 2월(-0.7%) 이후 두 달만이다.
소비 흐름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0.9% 줄었다. 올해 들어 1월(-0.6%) 이후 2월(1.8%)에 증가세를 보이는가 했지만 3월(-1.0%)부터 두 달째 낙폭을 그렸다. 의복 등 준내구재(-2.0%)와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1.4%), 의약품 등 비내구재(-0.3%) 등의 판매가 모두 줄어든 데 따른 결과다.
설비투자는 0.4% 감소했다. 지난 1월(-17.2%) 크게 낙폭을 그린 뒤 2월(21.3%)에 회복하는 듯했지만 3월(-0.6%)에 이어 두 달째 마이너스 흐름을 보였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9.9%)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반도체 제조용기계 등 기계류(-4.5%)에서 투자가 줄었다.
건설기성도 0.7% 감소했다. 1월(-4.5%) 이후 2월(3.0%)에 회복하는 듯했지만 3월(-5.0%)에 이어 지난달에도 낙폭을 그렸다. 토목(6.6%)에서 늘었지만 건축(-3.1%)에서 공사 실적이 줄면서 마이너스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지금 뜨는 뉴스
현 경기를 알아볼 수 있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2포인트 상승한 98.9로, 지난 2월부터 석 달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향후 경기를 내다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9로 0.3포인트 올랐다. 이 역시 2월부터 석 달째 상승 흐름을 보인 것이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