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27일 "신도시 개발 시 상업용지 비율을 현행 대비 절반 이하로 조정해 장기 공실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공약했다.
이 후보는 이날 설명자료를 통해 "장기 공실 상가에 한해 주거시설, 공유오피스, 청년창업공간, 문화시설 등으로 용도 변경을 허용해서 실제 수요에 따른 전환을 유도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는 "동탄·미사·위례·세종 등 신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상가 공실 문제가 장기화하고 있다"며 "수도권 전체 상가 공실률은 10%를 상회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20% 이상 달할 정도로 심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택지개발지구 내 지자체 재정수입 유도 목적의 상업용지를 과잉 지정하고 고가 분양이 반복된다"며 "상가를 분양받은 생계형 수분양자는 장기 공실로 인해 임대료 수익이 없고, 상가 가치까지 하락하는 이중고에 처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현행 20%인 신도시 개발 시 상업용지 비율을 10%로 조정하고, 분양 광고 사전 심사제 및 분양대행사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일정 규모 이상의 상업시설 분양 시 분양 광고는 한국부동산원이 사전 심사하고, 지자체는 해당 심사 결과에 따라 승인 또는 보완요청을 할 수 있도록 체계를 이원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자체는 지역 내 상가 공실 실태조사 및 데이터 공개 의무를 이행하고, 실거래가·공실률·유동 인구 등의 정보를 공공포털을 통해 투명하게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이 후보는 "공실 해소는 신도시 및 기존 택지지구의 상권 정상화에 핵심"이라며 "자영업 기반 안정과 지역 상권 회복에 실질 기여하고, 공공기관도 공실 해소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책임 있는 도시개발 구조 정립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