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볼쇼이극장 예술감독을 지낸 발레 거장 유리 그리고로비치가 별세했다고 19일(현지시간) 타스 통신 등 현지 매체들이 보도했다. 향년 98세.
리아노보스티 통신은 그의 측근을 인용해 "위대한 소련·러시아 안무가 유리 그리고로비치가 숨졌다"며 영결식과 장례식 일정은 추후 발표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로이터통신은 그를 "20세기 최고 안무가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1927년 소련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그는 레닌그라드 발레학교를 졸업한 뒤, 1946년 키로프 아카데미 오페라 발레 극장(현 마린스키 극장) 발레단에 입단해 1961년까지 무용수로 활동했다. 이후 안무가로 전향해 '석화', '사랑의 전설' 등으로 두각을 나타냈고, 1964년 37세의 나이로 모스크바 볼쇼이극장 수석 안무가에 임명되며 본격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고인은 볼쇼이극장에서 약 30년간 수석 안무가로 재직하며 '호두까기 인형'(1966), '이반 뇌제'(1975), '앙가라'(1976), '백조의 호수', '로미오와 줄리엣', '스파르타쿠스', '잠자는 숲속의 미녀' 등 다수의 고전 작품을 안무하거나 재해석했다. 이 가운데 '호두까기 인형'은 볼쇼이극장 역사상 최다 관객을 동원한 작품으로 "춤 동작만으로도 서사를 이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88년부터는 예술감독까지 겸임하며 볼쇼이극장의 상징적 존재로 자리 잡았으나, 1995년 경영진과의 갈등 끝에 물러났다. 그의 퇴진에 항의한 무용수들의 단체 파업은 볼쇼이극장 200년 역사상 최초의 무용수 파업으로 기록됐다.
이후 그는 러시아 남부 크라스노다르에 자신의 이름을 건 발레단을 창단해 활동했으며, 2008년 볼쇼이극장에 복귀해 최근까지 안무가 겸 연출가로 활약했다.
그리고로비치는 예술적 공로를 인정받아 1973년 소련 인민예술가, 1986년 사회주의 노동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러시아 및 해외에서 60개 이상의 상을 수상했다. 2017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으로부터 최고 권위의 '국가상'을 받았다.
한국 발레계와도 인연이 깊다. 1988년 서울올림픽 문화축전을 계기로 처음 방한한 이후, 국립발레단과 협업해 '호두까기 인형'(2000), '백조의 호수'(2001), '스파르타쿠스', '로미오와 줄리엣', '라이몬다' 등을 국내 무대에 올렸다. 연출에도 깊이 관여했으며, 저작권료도 받지 않고 공연장 인근에 거주하며 몇 달간 직접 무용수들을 지도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그리고로비치가 아꼈던 볼쇼이극장 출신 무용수 유리 블라디미로프도 같은 날 별세했다. 향년 83세. 그는 '이반 뇌제'에서 주역을 맡으며 존재감을 드러냈고, 1987년 소련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은 바 있다.
이이슬 기자 ssmoly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