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치즈냥이' 털색깔의 비밀…고양이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시계아이콘01분 1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日연구진, 고양이 털색 발현 유전자 변이 규명
퇴직 후 애묘인들에게 연구비 모금해 연구
미 연구팀도 유사 결과 발표

고양이 털 색깔을 결정짓는 유전자의 비밀을 파헤치는 논문이 발표됐다. 한국에서 이른바 '치즈냥이'로 불리는 옅은 적갈색 고양이는 대다수가 수컷이어서 지금까지 성염색체인 X염색체가 이와 연관이 있다는 정도로만 알려졌다. 일본 규슈대 연구팀은 털 색깔을 발현하는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치즈냥이' 털색깔의 비밀…고양이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고양이. 픽사베이
AD

연합뉴스 등에 따르면, 일본 규슈대 사사키 히로유키(Hiroyuki Sasaki)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고양이의 오렌지색 털을 만드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국 스탠퍼드대 그레고리 바시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도 같은 학술지에 유사한 결과를 동시에 발표했다.


두 연구팀은 고양이의 피부, 모낭(毛囊), 눈 등의 색깔을 결정하는 멜라닌세포에서 X염색체와 연관된 'ARHGAP36'이라는 유전자의 활성화 정도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오렌지색 털을 가진 '치즈냥이'와 그렇지 않은 고양이들의 DNA를 비교한 결과, 치즈냥이의 ARHGAP36 유전자에서 DNA 일부가 누락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고양이의 오렌지색 털은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해 짙은 흑갈색 털 색깔 발현이 억제된 결과라는 점은 수십년간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정확히 어떤 유전자의 어느 부위가 이런 메커니즘에 관여하는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전자가 정상일 경우 털이 검게 나는데, ARHGAP36 유전자의 일부 조각이 빠져있으면 갈색 색소가 많은 오렌지색 털이 나오게 된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설명이다.


'치즈냥이' 털색깔의 비밀…고양이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삼색얼룩털 고양이와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 연합뉴스

이러한 결과는 몸 전체가 오렌지색인 '치즈냥이'가 대부분 수컷이고, 삼색 고양이는 대체로 암컷인 사실과도 부합한다. 수컷 고양이는 X염색체가 하나뿐이기 때문에 오렌지색 유전자를 물려받으면 '치즈냥이'가 되는 반면, 암컷은 X염색체가 두 개라 X염색체에 각각 오렌지색과 검은색 또는 흰색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받으면 얼룩덜룩한 털 무늬가 생기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일본과 전 세계 고양이 애호가 수천 명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연구비 1060만엔(1억200만 원)을 모금해 진행됐다. 사사키 교수는 고양이 애호가로서 "대학에서 은퇴했지만 고양이 질병 극복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라며 주황색 고양이 유전자를 밝히는 작업을 계속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사사키 교수는 "후원금을 보내준 이들 중 초등학교 1학년과 3학년 어린이들이 용돈을 모았다며 '삼색얼룩털 고양이(calico cat) 연구에 써 주세요'라고 한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반려묘를 키우는 상당수가 털 색깔과 고양이의 성격이 연관이 있다고 믿는다"며 "과학적 증거는 아직 없지만 흥미로운 가설로 더 연구해보고 싶은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AD

연구팀은 앞으로 ARHGAP36 유전자의 DNA 변이가 건강 상태와 다른 신체 부위나 기질에도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다. 해당 유전자는 인간에게도 발견되며 피부암이나 탈모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그 실마리를 얻을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114:00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출신 대학을 보고 채용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도 없다." 송인수 교육의봄 대표는 아시아경제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채용할 때 지원자의 능력보다 '출신학교'를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 경쟁이 벌어지고, '학벌'을 얻기 위해 사교육비 폭증이 생기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020년 창립한 교육의봄은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벌 없는 채용'이 핵심이라고 보고, 기업의 채용 변화에 나

  • 25.06.1114:00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 대학을 살려야 서울 중심 대학 서열 체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 소장은 아시아경제와 만나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 구조는 교육을 넘어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라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대학문제연구소는 대학 문제가 고등교육만이 아니라 인구, 사회불평등구조, 국민복지, 지역균형발전 문제 등 국가 의제와 맞닿아 있다는 인식 아래 해법을 연구해

  • 25.06.1114:00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은 N수생인 시대다. N수생 증가는 수능 대비를 위한 사교육 증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불평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대표적인 교육 문제로 꼽힌다. 최근 N수생 실태를 조사한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잦은 입시 정책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교육 개혁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남궁 연구위원은 "2019년 조국

  • 25.06.1015:00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하나의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자율적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벤 넬슨(Ben Nelson)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경제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대학별로 자체적인 입학 기준을 가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넬슨 설립자는 대학의 인재 선발 확대가 수험생(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

  • 25.06.1015:00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은 '입시 지옥'으로 대변되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토론형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아시아 경제 인터뷰에서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지 지식 전달식(주입식)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라고 짚으면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교육보다는 암기,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직도 개선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 25.06.0517:15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5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박명호 동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은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다"며 "단기보다는 중장기를 준비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보수의 키맨은 이준석·한동훈이 될 것"이라면서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국민의힘의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승부는 이미 결정된 선거였다. 기본적

  • 25.06.0417:35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①김만흠·채진원"대선 결과는 계엄 심판, 독주 견제"[AK라디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1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됐다. 이재명 후보는 49.42% 득표율을 기록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41.15%),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8.34%),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0.98%)를 제쳤다. 4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김만흠 전 국회 입법조사처장과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계엄에 대해 심판하면서도 이재명 후보가 과반을 얻지 못하고 김문수 후보와의 격차가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