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층에서 2형 당뇨병(T2DM) 유병률이 치솟고 있다.
1일 대한당뇨병학회의 학술지 '당뇨병과 대사 저널'(DMJ·Diabetes & Metabolism Journal)에 최근 실린 '한국 2형 당뇨병 젊은 성인의 유병률, 발생률 및 대사 특성(2010∼2020년)' 연구논문을 보면 2010년 1.02%였던 국내 19~39세 젊은 성인의 2형 당뇨병 유병률이 10년 만인 2020년 2.02%로 두 배가량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약 37만명의 젊은 성인이 2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이다. 특히 30대 유병률이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하며 젊은 당뇨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성별을 보면 남성 유병률이 여성보다 일관되게 높았고, 증가 속도도 남성이 더 가팔랐다.
특히 비만과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경고가 나온다. 2020년 기준으로 이들 젊은 당뇨 환자의 67.8%가 체질량지수(BMI) 25kg/㎡ 이상의 비만이었고, 31.6%는 고도비만(BMI 30kg/㎡ 이상)에 해당했다. 허리둘레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런 비만은 고혈압(34.2%), 이상지질혈증(79.8%), 지방간(78.9%)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으로까지 이어졌다.
아울러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 유병률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심부전은 2020년 기준 젊은 층 당뇨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으로 나타났다. 만성신부전증(말기 신장 질환),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도 발생했다.
지금 뜨는 뉴스
전문가들은 젊은 성인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꾸준히 운동하는 등 적극적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문가들은 개인 차원의 노력뿐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정책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당뇨병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 개발, 비만 관리를 위한 제도적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