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최근 조기 대선이 확정되고 정치 테마주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불공정거래 및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만큼 특별단속을 확대한다고 1일 밝혔다.
금감원은 조사국 내 설치된 정치테마주 특별단속반장을 조사1국장으로 격상해 확대 운영한다. 또 주요 정보전달 매체와 이상 급등 종목, 민원·제보가 많은 종목, 대주주 대량 매도 종목, 최근 대규모 전환사채(CB) 전환 종목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거래소 등과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해 역할 분담 및 정보공유를 확대할 예정이다. 여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내부자 및 투자자 제보 활성화를 위해 7월31일까지 정치테마주 집중 제보 기간을 운영해 최대 30억원에 달하는 포상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선거철 초기에는 단순히 학연·지연·혈연 등 유력 정치인과 관련된 인물 관련주 위주로 주가가 급등락했다. 또 선거일에 근접하는 시점에는 선거공약과 관련된 정책 관련주의 주가 변동성이 큰 편이라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정치 테마주의 경우 주로 부채비율이 높게 나오는 등 재무구조가 취약하고 수익성도 저하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주가는 높게 형성된 경우가 많았다. 지난달 22일 기준 정치 테마주의 평균 주가순자산비율(PBR)은 2.3배다. 시장 평균 대비 2배 이상 과열된 상태였다. 특히 14개 종목은 PBR이 3배 이상으로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상당히 고평가된 수준이라고 금감원은 평가했다.
주가 변동성도 컸다. 작년 12월3일부터 지난달 22일까지 정치테마주 지수의 일별 주가등락률은 최저 -6.5%~최고 18.1%(일평균 3.0%), 일간 변동성은 3.3% 수준으로 코스피(1.04%)의 3배에 달한다.
금감원은 지난 19대 대선 때도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주가 급등락을 반복하다가 선거일 전·후 주가가 원래 수준으로 회귀하는 등 주가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도 높아 투자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지금 뜨는 뉴스
금감원은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실적 등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단순히 정치인의 학연과 지연 등 인적 관계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할 수 있다"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로 투자자를 현혹시킬 수 있으니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