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단체, 바람 탓에 살포 연기
시민 안전 우려 속 갈등 심화
파주시, 강력한 대응 예고
23일 오전 대북전단을 살포할 예정이었던 납북자가족모임이 바람 방향이 맞지 않아 살포 일정을 오후 늦은 시간으로 연기했다.
이번 전단 살포는 납북자가족들이 북한으로 납치된 가족들의 생사 확인을 위해 전단 1만장을 풍선에 매달아 북한으로 날릴 계획이었으나, 바람이 북쪽을 향해 불지 않아 오전 11시가 지나도록 전단을 보낼 수 없었다.
이에 단체 측은 오후부터 남풍이 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저녁에 다시 살포를 시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북전단 살포를 둘러싸고 파주 지역에서는 갈등도 커지고 있다.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등 시민단체는 대북전단 살포가 접경지역의 군사 충돌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주장하며 전단 살포를 반대하고 있다.
특히 파주 민통선 마을 주민들은 이미 대남방송 등으로 일상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대북전단 살포로 인해 북한의 추가적인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오전, 전단 살포를 저지하기 위해 트랙터 10여 대를 몰고 현장에 집결했다.
파주시도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강력히 반대하며, 해당 행위의 즉각적인 중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파주시는 "대북전단 살포는 표현의 자유를 빙자한 테러 행위"라며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한, 파주시는 해당 행위를 막기 위해 모든 행정적·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며, 불법적인 전단 살포 시도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퇴거와 함께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다.
경기북부경찰청도 충돌을 우려를 해 기동대 4개 부대를 현장에 배치했다. 경찰은 차벽과 바리케이드를 설치하여 납북자 가족 단체와 반대하는 주민들을 분리하며,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경기도는 특사경을 투입해 대북전단 살포가 계속될 경우 이를 막을 계획을 밝혔다. 파주시는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상황을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대북전단 살포를 넘어서, 지역 주민들의 안전과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됐다.
대북전단이 북한의 군사적 반응을 유도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표현의 자유를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 충돌하면서, 갈등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지금 뜨는 뉴스
파주시는 대북전단 살포가 주민들의 안전과 삶에 미치는 영향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사건을 평화롭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파주=이종구 기자 9155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