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산불 피해로 실의에 빠진 이재민의 신속한 주거 안정을 위해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안에 경북형 모듈러주택 18동을 마련한 뒤 첫 입주를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권기창 안동시장 등 관계자들이 지난 18일 열린 입주식에 참석해 이재민을 격려하고 생필품, 가전 등 다른 불편한 점은 없는지 살펴보고 건의 사항을 청취했다.
경북형 모듈러주택은 기존 이재민 임시주택 개념을 확장하고 층층이 쌓거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확보해 항구적 수준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손쉬운 재사용을 위한 신개념 이재민 임시주택으로 안동 18, 의성 42, 청송 20, 영양 41, 영덕 90동 등 211동을 공급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안동 일직면 1호 모듈러주택은 2층, 호당 약 30㎡(9평 정도, 중복도형)로, 현관, 욕실, 침실, 발코니로 구성돼있으며 내부에는 싱크대, 냉난방기, 인덕션이 설치되고, 구호 물품으로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밥솥 등이 제공된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임시대피소에서는 고령의 어르신들이 장기간 머무르기는 쉽지 않다"며 "경북도가 선제적으로 모듈러주택을 제공해 신속히 입주할 수 있어 이재민에 대한 근심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었다며, 새로운 임시 주거 모델로써 행정안전부에서도 각별한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기존 일직면 거주 이재민 주민 A 씨는 "평생 생활하는 집과 살림이 불타고 거동도 어려워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면서, "빠른 입주를 할 수 있게 도와준 경북도와 안동시에 감사하고, 주변에 피해를 당한 많은 이재민도 몸과 마음이 모두 힘든 상황이다. 마을이 회복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도움을 가져달라"고 부탁했다.
지금 뜨는 뉴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경북형 모듈러주택이 산불 피해 이재민의 주택 회복까지 안전하고 쾌적한 보금자리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겠다"며 "앞으로 임시 주거 사용 이후에는 시군 수요를 반영해 마을 공용시설, 계절근로자 숙소, 농어촌 민박 등으로 활용하고 만일의 재난 시에는 신속히 설치해 구호에 사용하는 선순환 체계 마련하는 등 이재민 임시 주거 대응 시스템을 개편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영남취재본부 구대선 기자 k586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