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휴스턴대 조교수 전 모 씨, 강의 중단돼
"비자 말소…많은 국제 학자들 겪는 문제"
트럼프, 불법 이민 척결 앞세워 대학 압박
미국의 한 대학교에 재직 중인 한국인 교수가 학기 도중 갑작스럽게 비자가 취소돼 강의를 중단하고 한국에 돌아왔다는 소식이 전해져 현지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연합뉴스는 15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지역방송 '폭스26휴스턴'을 인용해 "휴스턴대 조교수로 재직 중인 한국인 남성 전 모 씨가 비자 취소로 개설한 강의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전 모 씨는 최근 학생들에게 "예상치 못하게 비자가 말소됐다. 최근 많은 국제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친 문제"라며 "즉시 한국으로 돌아가야 해 강의를 계속하지 못하게 됐다"고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또 "강의를 끝내지 못하게 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한다"며 "여러분과 함께 공부한 것은 큰 기쁨이었다"고 밝혔다. 전 씨는 지난 2022년 9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한 뒤 지난해 가을부터 휴스턴대에서 조교수로 강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불법 이민자 차단 및 반유대주의 척결을 내걸고 외국인 대학생과 연구원 등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전 씨와 같은 비자 취소 사례는 있다. 전 씨의 비자 취소 소식이 알려지면서 휴스턴대 학생들과 교수들 사이에서도 불안이 감돌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훌륭한 과학자를 잃었다", "정부가 미국 고등 교육에 치명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는 의견이 올라왔다. 다만 대학 측은 "전 씨가 다른 기관에서 박사 과정을 밟고 있어 학생 비자가 취소됐다"고 설명했다.
이민 전문 변호사인 라에드 곤살레스는 '폭스26휴스턴' 인터뷰에서 "국토안보부가 300명이 넘는 유학생과 교수진의 비자를 취소했다"며 "이는 텍사스대, 텍사스 A&M대, 노스텍사스대, 텍사스 공대 등 텍사스주의 대학들에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미국 CNN 방송이 소장과 변호사 성명, 학교 측 발표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최근 미국 90여개 대학에서 600명 이상의 유학생과 교수진, 연구원이 비자를 취소당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지난달 중순 이후 미국에서 비자 취소 또는 연방정부 기록 삭제 조치를 받은 유학생 및 연구진은 1000명에 달하며,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최소 4700건 이상의 유학생 기록이 말소 조처된 것으로 추산했다. 그러나 비자가 취소된 이유를 두고 비판의 목소리가 강하게 나오고 있다.
지난달 24일 미국 아이비리그(미 동부 8개 명문 사립대) 대학 중 하나인 컬럼비아대에 재학 중인 한국인이 친(親)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했다가 추방 대상에 오른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그는 지난 2021년 영주권을 획득했으나 국무부로부터 돌연 "체류 자격이 취소됐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부터 미 대학가에서는 친팔레스타인·반전 시위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지금 뜨는 뉴스
다만 법원은 해당 학생을 추방하려는 트럼프 정부의 시도를 일시 중단시켜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 법원의 추가 명령이 있을 때까지 당국은 해당 학생을 구금하거나 관할지역 바깥으로 이송하는 행위가 금지된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