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조기대선 '발등의 불'
이달말 여야 후보 확정될 듯
국민통합도 새로운 과제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정치권은 조기 대선 준비에 들어갔다. 헌법 제68조에 따르면 판결로 대통령 자격을 상실할 경우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뽑아야 한다. 일정을 고려할 때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은 오는 6월3일이 유력하다.
대선 후보 등록 기간을 고려한다면 주요 정당은 아무리 늦어도 선거일 한 달 전에는 대선 후보를 확정해야 한다. 이미 대선 후보를 뽑은 개혁신당을 제외한 다른 정당은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조기 대선을 어느 정도 대비했던 야당과 달리 여당은 마음이 더 급할 수밖에 없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주요 정당은 이번 주말 사이에 대선 경선 규칙 등을 검토한 뒤 본격적으로 경선 준비에 나선다. 이렇게 된다면 4월 말부터는 여야 대선 후보가 추가로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 대선주자 가운데 가장 높은 여론조사 지지율을 보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당내 경선 후보 등록을 위해 당 대표직에서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국무총리 등도 경선 후보로 거론된다. 야권 일각에서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 구상이 현실화할 것인지도 관심사다.
그동안 국민의힘은 여당의 처지상 대놓고 조기 대선을 준비할 수 없었지만 윤 대통령이 탄핵당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유승민 전 의원, 안철수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대선후보로 거론된다.
여야는 헌재 결정 수용 의사를 밝혔고 대선 후보 경선 준비에 들어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헌재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이며 겸허하게 수용한다"면서 "헌재 판단은 헌정질서 속에서 내린 종국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도 기자회견을 통해 "위대한 국민들이 위대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되찾아주셨다"면서 "대한민국 민주공화정을 지켜준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는 대국민담화를 통해 "주권자인 국민 여러분들의 뜻을 받들어 헌법과 법률에 따라 다음 정부가 차질 없이 출범할 수 있도록 차기 대통령 선거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이번 대선은 윤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극심한 분열상을 해소하며 국민통합을 이뤄내야 한다는 숙제도 안고 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정치권이 과거는 과거고, 미래로 나아가자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며 "대선에서 지지자를 자극하는 발언이 극에 달할 수 있는데 '유튜버 정치'를 삼가고 정쟁을 유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도 "당분간 탄핵에 반대했던 이들은 반발하겠지만, 결국은 조기 대선을 통해 불만이 수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장보경 수습기자 jb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