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증권은 미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발표한 상호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시장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3일 평가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내용은 시장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평가된다"며 "모든 국가에 적용되는 보편적 관세율은 10%지만 소위 더티 15개국 등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시장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아시아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예상보다 높았다"며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이 부과된 동시에 중국 34%, 일본 24%, 대만 32%, 베트남 46%, 태국 36% 등 주요 아시아 교역 상대국은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 보편적 관세율이 10%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포함함 아시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게 된 배경에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정한 교역 상대국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이 높기 때문이라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에 충격이 확산할 가능성이 커졌다. 그는 "일단 최악의 수준에 근접한 상호관세율이라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며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에 충격을 미칠 공산이 커졌으며 미국 경기 둔화 및 물가 압력을 높일 수 있는 변수로 판단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소 2분기까지 상호관세 시행이 미국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악영향을 주시할 수밖에 없게 됐다"고 덧붙였다.
iM증권은 이번 상호관세로 인해 주요국의 재보복이 뒤따를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그는 "당장 34%의 추가 관세를 부과받게 된 중국은 강도 높은 맞보복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중 간 갈등이 더욱 확산된 수밖에 없게 됐으며 유럽연합(EU) 역시 맞대응에 나설 공산이 높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금융시장은 물론 미국을 위시한 주요국 경기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국내 경제 입장에서는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당장 자동차 등 주요 수출제품의 대미 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 분명하며 베트남 생산기지를 통한 우회 대미 수출 역시 큰 타격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2분기부터 대미 혹은 대아세안 수출 둔화 등으로 국내 성장률의 추가 둔화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에서 언급되던 올해 0%대 성장률 가능성이 가시화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그러면서 "헌재의 탄핵 결정이 변수로 남아 있지만 달러·원 환율의 추가 상승, 즉 1500원선을 재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며 "국내 주식시장 입장에서도 단기적으로 추가 조정 리스크에 노출될 여지가 커져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