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발표
생성형 AI 이용률 '23년 대비 2배 증가
구매 경제에서 구독 경제로 전환
해외 직구 이용자 증가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고 응답했다. 정보검색과 문서작업, 외국어 번역을 위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주로 이용했다.
30일 발표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용 분야는 단순 정보검색(81.9%), 문서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순이었다.
AI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년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해 2024년에는 60.3%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32.4%, 2022년에는 42.4%, 2023년에는 50.8%, 2024년 60.3%였다.
인공지능(AI)의 도움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98.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가사 지원 로봇,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필요도 78.2%, 이용 의향 58.7%)에서 가장 높다고 답했다.
식료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소프트웨어 등 상품이나 서비스를 정기 ‘구독’하는 방식이 디지털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인터넷 상품 구매 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년 49.4%로 약 3.8배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구독서비스 이용률 증가는 10~30대가 주도했다. 2023년 대비 10대는 43.6%포인트, 20대는 40%포인트, 30대 37%포인트 순으로 상승하였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와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가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2024년 34.3%로 약 1.7배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47.2%)가 가장 높았고, 20대(43.5%), 40대(36.8%)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30대는 전년 대비 20%포인트 가까이 이용률이 증가해 해외 직구에 적극적이었다.
전체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전체 조사 대상 가구 중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가구의 비율)은 전년과 동일한 99.97%였다. 만 3세 이상 가구원의 인터넷 이용률(만 3세 이상 국민 중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은 전년보다 0.5%포인트 증가한 94.5%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에 1회 이상 이용했다. 주 평균 20.5시간 이용하고,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7.7%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메신저는 카카오톡(98.0%)이었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95.4%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1인 미디어 채널(68.3%)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에 대하여 엄열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AI 기술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우리 생활의 필수적인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AI 서비스가 국민의 일상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이용 역량 강화, 윤리적 활용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 뜨는 뉴스
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는 전국 2만5509가구 및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