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컨슈머들의 사이에서 식품 선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푸드 마일리지가 부상하고 있다. 먹거리가 생산자의 손을 떠나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 거리를 의미하는 푸드 마일리지는 탄소 중립 시대에 소비자들이 가장 빠르고 간편하게 환경 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푸드 마일리지가 클수록 먼 지역에서 수입된 것이며, 이는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자들의 선택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선도를 가늠하는 척도로도 활용되어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성을 띠고 있다.
푸드 마일리지가 짧은 대표적인 식품인 국산 우유는 ‘일배식품(일일배달식품의 준말)’으로 불리며, 생산된 지 2~3일 이내에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신선 식품이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우유는 낙농가에서 착유 후 신속하게 냉각되어 외부 노출 없이 2~3일 안에 유통된다. 유통기한이 최대 14일로 짧아 신선도 관리가 필수적인 식품이다. 실제로 우유는 식품 가공 단계에 따라 분류되는 식품분류체계, 노바(NOVA) 시스템에서 '미가공식품 또는 최소가공식품'에 속한다. 이는 식품 가공 군 중 1군으로 대표적인 천연식품이자 신선식품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수입산 멸균유는 일반적으로 유통 기한이 대개 1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완제품이 국내에 반입되는 데만 최소 한 달 이상이 걸려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들은 3개월이 지난 것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국산 우유는 신선한 원유 상태 그대로 살균 및 균질화 처리만 거쳐 2~3일 내 유통되기에 맛과 신선함,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한다.
국산우유는 식품이 이동하는 거리를 환산하는 푸드 마일리지가 짧은 대표적인 신선 식품이다. 목장에서 젖소로부터 착유한 원유는 냉장 시스템이 완벽하게 갖춰진 원유 운반 차량을 통해 가까운 공장으로 옮겨진다. 원유를 공장으로 옮기는 과정을 ‘집유’라고 하는데, 공장에 도착하면 우유의 재료가 될 수 있는지 외관, 온도, 성분, 세균수, 항생물질 등 품질 검사를 받고 합격하면 균질, 살균, 포장, 제품검사 등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전달된다.
이때 중요한 점은 목장에서 생산된 우유가 집유, 살균, 검사,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콜드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신선식품인 만큼 유통기한이 2주 내로 짧은 국산우유는 보통 배로 수송하는 수입 멸균유와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푸드 마일리지에 있어 큰 차이가 난다. 특히 수입 멸균유는 원유 품질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식품 안전성 또한 보장하기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국산우유는 이러한 신선도는 품질과 직결된다. 우유의 원재료가 되는 원유의 품질은 체세포 수와 세균 수로 결정하는데, '체세포 수'는 젖소의 건강 상태를, '세균 수'는 착유 환경의 청결도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원유 위생 등급 기준에 따르면 가장 높은 품질 등급인 '1A'는 원유 1㎖당 세균 수 3만 개 미만, 체세포 수 1등급은 20만 개 미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는 대표적인 낙농 선진국 덴마크와 동일한 수준이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24년도 상반기 원유검사 결과'에 따르면 체세포 수 1등급 비율은 71.88%다. 이는 2023년 71.13%인 전년 대비 0.75% 포인트(p) 늘어난 수치다. 세균 수 1등급 비율은 99.62%를 기록했다. 이는 낙농선진국 덴마크와 동일한 수준으로 세계 최고 품질임을 입증했다.
지금 뜨는 뉴스
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산 신선유는 착유 후 바로 냉각시킨 다음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신선한 원유 그대로 살균과 균질화 처리만 거쳐 2~3일 내 유통된다”며 “식품을 생산하고 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부담 정도를 지표로 나타낸 푸드 마일리지가 짧은 국내산 우유를 마시는 것이 환경을 지키는 또 다른 방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 기자 peng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