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배터리 2025' 참관
LS일렉, 지난해 5월 KOC전기 인수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5일 "초고압 변압기 다음으로 배전 변압기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며 "전략적 측면에서 (인수합병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 회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인터배터리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인수합병(M&A) 계획에 대해 "(지난해 인수한) KOC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을 확대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이같이 답했다.
앞서 LS일렉트릭은 지난해 5월 총 592억원을 투자해 국내 중소 변압기 제조기업인 KOC전기의 지분 51%를 매입했다.
구 회장은 "KOC 전에 인도네시아 심포스(SYMPHOS)라는 변압기 회사를 인수한 후 1년 사이 3배 가까운 성장을 했다"며 "기존에 있는 변압기 생산 설비를 어떻게 확대하느냐가 관건이고 필요하면 M&A를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LS일렉트릭은 부산 초고압변압기 생산능력(캐파) 확대를 위해 총 1008억원을 투자했다. 이를 통해 2027년부터 초고압변압기 캐파가 총 7000억원 규모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내 입지도 탄탄해지고 있다. 구 회장은 "미국 내 데이터센터는 납기, 퀄리티, 가격이 괜찮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인지도가 올라가고 물량도 늘고 있다"면서 "올해 안에는 큰 건수가 생기지 않을까 조심히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LS일렉트릭은 앞서 2022년 미국 전력 배전반 생산업체인 MCM엔지니어링Ⅱ를 인수하며 현지 생산을 시작했다. 구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 이전부터 MCM과 베스트럽 공장을 인수했기 때문에 관세와 상관은 없다"면서 "관세가 생기면 기본적으로 계약서를 맺을 때 반반씩 하는 것으로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은 (제품 안전 인증인) UL 때문에 그 나라에서 생산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 우리 전략은 변함이 없다"며 "미국에서 만들어서 미국 고객에게 팔아야 한다는 철학을 갖고 이전부터 해 왔기 때문에 큰 영향은 없다"고 덧붙였다.
구 회장은 미국에서 짓고 있는 국내 배터리사들의 건설기간 지연 우려에 대해 "미국은 인증이 따로 있어 같은 제품일지라도 인증 절차가 까다롭다"며 "배전 규격에 맞는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도 한 곳이 있지만 성능이 못 미친다"며 "큰 찬스이자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LS일렉트릭의 미래 먹거리인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에 대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중국의 경우 국가 사이즈 대비 엄청난 보조를 통해 산업을 일으켰다"며 "ESS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이 바뀌면 안 되고 10년, 20년 지속해서 정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