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수행 이유 ‘사회활동 참여’ 최다
고용 형태는 91%가 ‘비정규직’ 근무
시, 7,986명 대상 실태조사 결과 발표

광주지역 사회서비스 종사자들의 절반 이상인 57.3%가 보건복지부 지침 수준의 ‘인건비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시는 지난 26일 시청 다목적실에서 권익향상전담팀 위원, 광주사회서비스원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부문 사회서비스 종사자 권익향상전담팀(TF) 제7차 회의’를 열고 종사자 실태조사 결과 보고 및 향후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2023년 8월 어린이집 보육대체교사 고용 문제 등과 관련해 광주시, 광주시의회, 광주사회서비스원, 민주노총공공연대노동조합의 4자 합의에서 사회서비스 권익향상TF를 구성·운영 중이다.
시는 그동안 사회서비스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광주다움 통합돌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등 돌봄·보건의료·상담 분야 서비스를 제공하는 20개 사업 종사자 7,986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5~12월 8개월간 근로 여건, 인권 침해 사례 등을 알 수 있는 실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49.5%가 노인돌봄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장애인 돌봄 17.5%, 아동 돌봄 12.9%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업무 수행 이유는 ‘사회활동에 참여해 삶의 만족과 보람을 느끼려고’가 35.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가계의 주 수입을 위해’ 22.1%, ‘가계 부수입을 마련하려고’ 16.5%, ‘나이가 많아도 일을 할 수 있어서’는 14.3%로 집계됐다.
분야별 보수 시간당 평균 단가는 돌봄분야 1만4,406원, 보건의료 1만7,044원, ▲상담 1만2,434원으로 분석됐다. 월평균 근로시간은 돌봄분야 121시간, 보건의료 185시간, 상담 204시간으로 나타났다.
보수체계 개선을 위한 사항으로는 ‘보건복지부 지침의 인건비 수준 상향 조정(57.3%)’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이어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경력을 반영할 수 있는 임금 체계 마련(10.6%)이 뒤를 이었다. 반드시 시행해야 할 복리후생제도로는 교통통신비 39.9%, 명절휴가비 27.1% 순이었다.
고용 형태별로는 비정규직(단시간근로제) 37.5%, 비정규직(기간제) 27.2%, 무기계약직 24.5%, 정규직 8.9% 순이었다.
광주시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부분 사회서비스 종사자 권익향상 TF 논의를 활성화해 현장 상황 및 여건 등을 반영한 ‘사회서비스 종사자 권익향상 종합계획’을 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지금 뜨는 뉴스
임애순 돌봄정책과장은 “이번 회의는 ‘공공부문 사회서비스 종사자 실태조사’ 결과를 보며 무엇을 해야 할지 깊이 고민하는 자리였다”며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사안과 광주시가 해야 할 사안이 무엇인지 구분하고, 단계적인 지원체계 마련 등 사회서비스 종사자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