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국방이어 통일부도 차단 대열
외교·국방·통일부 등 국내 안보 관련 중앙행정기관들이 중국의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나섰다. 이용과정에서 딥시크가 수집하는 각종 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될 수 있단 우려가 커지면서다.
6일 정부에 따르면 국방부는 군(軍) 업무에 쓰이는 인터넷 PC에 한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아직까지 구체적인 피해사례가 확인된 경우는 없으나 대내외적으로 딥시크에 대한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방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국방부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 인트라넷망으로 군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데, 일부 업무용 PC에서 인터넷을 활용한다”면서 “생성형 AI와 관련한 기술적 보안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 만큼 관련 부서와 협의해 후속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업무용 PC 외 장병들이 소지한 개인·업무용 모바일 기기와 관련해서도 “보안대책을 강구하겠다”면서 “이미 이런 내용을 담은 보안 가이드라인이 작성돼 배포돼 있다”고 전했다. 다만 이번 딥시크 접속 차단조치가 병사의 휴대전화 사용에도 영향을 주느냔 질문엔 “그렇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통일부 역시 이날 딥시크 접속차단 등 후속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통일부 측은 “앞서 국가정보원과 행정안전부의 요청에 따라 모든 생성형 AI 사용시 민감한 정보의 입력을 금지해 왔다”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관련 부처에서 전반적인 보안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보안조치 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지금 뜨는 뉴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지난 3일 모든 중앙부처 및 광역 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 오픈AI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민감한 정보는 입력하지 말라는 내용을 담은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한 바 있다. 또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항목과 절차, 처리 및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으나 아직 회신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