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친문' 김경수와 독일서 회동
탄핵 국면 '윤석열 체포' 1인 시위 하기도
'비이재명계 구심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탄핵 정국'에서 적극적으로 행보했다. 지난 7일과 14일, 국회 본회의 탄핵소추안 표결 때마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집회에 참가했다. 지난 12일 서울 서대문구 국가수사본부 앞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 체포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그는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SNS를 통해 "위대한 국민의 승리"라며 "탄핵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불확실성이 제거된 만큼 결국 경제적 어려움도 이겨낼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지난달 초 독일 출장 중에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와 회동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비이재명계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비해 본격적으로 움직인다는 해석이 나왔다. 김 지사는 22대 총선 이후 친문재인계인 전해철 전 의원을 도정자문위원장으로 위촉하는 등 비이재명계의 구심점 역할을 꾀하는 흐름이다.
다만 현재까지는 이 대표 중심으로 돌아가는 민주당의 단일대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행보를 보인다. 김 지사는 지난 1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1심 징역 1년 선고에 "사법부 판단, 매우 유감스럽다"며 "대한민국에 법의 상식과 공정이 남아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무죄가 선고된 이 대표의 위증교사 혐의 1심에 대해서는 "상식적인 결과"라며 "검찰의 별건 수사, 먼지털이 수사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대신 김 지사는 윤 대통령을 강하게 비판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서도 광역지자체장 중에서 가장 강력히 반발한 편에 속한다. 그는 지난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자 SNS를 통해 "대한민국을 45년 전으로 돌린 폭거, 비상계엄 해제하라"고 밝혔다. 이후에도 그는 비상계엄 선포가 위헌에 해당한다며 윤 대통령을 탄핵 대상이 아닌 체포 대상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7일 윤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임기 문제와 정국 안정 방안 등을 당에 일임한다고 밝히자 김 지사는 "쿠데타 주범에게 단축할 임기도, 일임할 거취도 없다"고 비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향후 김 지사는 민생과 확장 재정을 정책 방안으로 제시할 전망이다. 도 관계자는 "(김 지사가) 대권 행보를 구체적으로 하는 건 아니다"면서도 "경제 부문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경제 문제와 관련해서 조금 더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확장 재정에 대해 더욱 이야기할 것"이라며 "이 대표나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와 유기적으로 대화하면서 움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지사는 권력의지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공병선 기자 mydill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