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추락하는 승강기]①증가하는 엘리베이터 사고사…덤핑 유지관리가 원흉

시계아이콘02분 4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파트·지하철·공사장 등 매일 이용하는 승강기
6년간 승강기 사고로 37명 목숨 잃어
최저가 입찰 탓에 안전보단 돈에 초점
위축되는 산업…안전 규정 지킬 여력 없어

편집자주승강기는 안전하지 않다. 승강기는 사고가 나면 추락해서 인명사고를 동반한다. 한국인은 매일 전국에 설치된 86만대의 승강기를 타는데, 최근 6년간 승강기 사고로 400명 가까운 인명 피해가 났고 그 중 37명은 목숨을 잃었다. 승강기 사고는 유지관리산업의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다. 승강기 안전 확보를 만들기 위해 문제의 원인과 해법을 3회에 걸쳐 짚는다.

#.올해 1월 22일 경기 평택시 고덕동 아파트 공사 현장, 엘리베이터 수리 기사 30대 A씨는 엘리베이터 통로 내부 벽면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고 있었다. 사고는 순식간에 일어났다.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고, 중심을 잃은 A씨는 4~5m 아래 지하 2층 바닥으로 추락했다. 그는 현장에 출동한 구급 대원에 의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올해 3월 23일 오전 7시 52분께 인천 남동구 구월동 소재 아파트에서 주민인 70대 여성 B씨가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사망했다. 그는 엘리베이터에서 타지 못한 채 목줄이 끼인 반려견을 구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문을 강제로 열려다가 지하 2층 바닥으로 추락했다.


#.10월 14일 인천 중구의 5성급 호텔에서 엘리베이터 교체 작업을 하던 30대 C씨가 지상 12층에서 지하 2층으로 추락했다. 교체를 위해 철거 작업 중이었는데 그가 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떨어졌다. C씨는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사망했다.


[추락하는 승강기]①증가하는 엘리베이터 사고사…덤핑 유지관리가 원흉
AD

승강기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2019년부터 올해 11월 현재까지 발생한 승강기 중대사고는 모두 369건이다. 전국의 승강기는 지난 9월 말 기준 86만60대. 여기에는 에스컬레이터 3만4980대, 무빙워크 5920대, 휠체어리프트 4687대가 포함돼 있다. 나머지 약 81만대가 엘리베이터다. 설치 대수를 감안하면 사고가 드물다고 여길 수 있다. 하지만 승강기는 항공기처럼 사고가 발생하면 곧바로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올해 들어선 사망 사고가 부쩍 늘었다.


11일 한국승강기안전공단에 따르면 올해 들어 11월 현재까지 승강기 중대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9명이다. 승강기 사고 사망자는 2019년 3명이었지만 2020년 10명으로 크게 늘었다가 2021년 5명, 2022년 4명으로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6명으로 다시 늘어났고, 올해는 이미 작년 사망자 수를 넘어섰다.


승강기 사고 원인을 보면 이용자 과실이 절반에 가깝다. 이어 작업자 과실과 유지관리 업체 과실, 관리주체 과실 등이다. 이용자 과실로 인한 사고가 잦다고 하지만 책임을 피해자에게 넘기며 안전 교육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대부분의 사고가 이미 설치해 운행 중인 승강기에서 일어나는 만큼 이용자 과실이 중대사고로 이어지는 배경엔 관리상의 허점이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제값을 들여 유지관리를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추락하는 승강기]①증가하는 엘리베이터 사고사…덤핑 유지관리가 원흉 엘리베이터 기사가 서울의 지하철역 외부 승강기 안전점검을 하면서 전기계통을 살펴보고 있다. 조용준 기자

20만원 드는 유지관리 4만원에 계약하는 현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2024년 승강기 표준유지관리비'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6층 기준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평일 낮 1회 유지관리 비용은 19만7000원이다. 통상 월 1회 점검을 하는데 이 비용에는 인건비와 교통비, 안전부품을 제외한 소모품비, 기술료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런데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대기업은 아파트 엘리베이터 유지관리 입찰 가격을 3만~4만원 수준까지 떨어뜨렸다. 관리비가 오르는 것을 꺼리는 입주민의 입맛에 맞추기 위해 저가 경쟁을 펼친 결과다. 이런 경우 100% 최저가 입찰에서 유지관리 업체로 선정되기 위해선 4만원 이하를 써야 한다. 승강기 업계 관계자는 "정상적으로 유지보수 업무를 하며 수익을 내려면 표준 유지관리비의 70% 선인 13만~14만원 정도는 돼야 한다"고 말했다. '14만원'과 '4만원 이하'의 갭에서 부실 관리가 발생하고 사고로 이어진다.


한편에선 이 갭을 메꾸기 위해 편법이 동원된다. 업계 관계자는 "유지관리 계약 자체는 손해보는 조건에 따내고, 업계만 아는 자신들의 '룰'에 따라서 사용 연한이 차지 않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부품을 미리 교체해서 수익을 남기는 방법이 동원된다"고 전했다.


둘 중 어느 쪽이든, 국내 엘리베이터는 정석으로 안전 점검이 이뤄지고 그에 따라 부품을 교체하는 정상적인 유지관리를 받지 못하는 셈이다. 이선순 한국승강기관리산업협동조합 전무이사는 이와 같은 현실에 대해 "결국 주민과 유지관리 기업 모두 손해를 보게 된다"고 지적했다.

[추락하는 승강기]①증가하는 엘리베이터 사고사…덤핑 유지관리가 원흉

안전보다는 돈에 초점 맞춘 유지관리

승강기 안전을 위한 기본인 유지관리가 헐값에 이뤄지는 이유에는 국내 승강기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과 한국승강기관리산업협동조합에 등록된 국내 승강기 제조 업체는 총 140사, 이중 중소기업이 133사다. 유지관리 서비스업체의 경우 대기업 8사, 중소기업 807사 등 815개 업체가 있다. 많은 제조 업체가 매출이 나오는 유지관리 서비스를 겸하고 있어 실제로 국내의 전체 관련업체는 860사 정도다.


시장 규모는 제조·설치분야 2조9548억원(57%), 유비보수·서비스분야 2조2760억원(44%)으로 5조2308억원 정도다. 여기서 현대, 오티스, 티케이, 미쓰비시, 쉰들러 등 대기업과 글로벌 기업의 매출이 전체의 90%인 4조7000억원가량을 차지한다. 나머지 10%를 두고 다퉈야 하는 800개 이상 국내 중소기업은 대기업이 낮춰놓은 가격표를 울며 겨자 먹기로 따를 수밖에 없다.


유지관리가 안전이 아닌 돈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보니 현장에서는 제대로 점검이 이뤄지기 힘들다. 지난달 25일 찾은 서울 지하철 8호선 암사역사공원역 엘리베이터 정기 점검 현장, 이곳에서는 엘리베이터를 멈추지 않고 기기를 이용해서만 간단한 점검이 이뤄졌다. 부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는 육안으로만 확인했다. 지하철역 엘리베이터는 이용자가 많아 운행을 중단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AD

승강기 안전운행 및 관리에 관한 운영 규정에 2명 이상으로 작업을 하도록 한 '2인 1조' 의무 규정도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유지관리 현장에 돈이 말라 사람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티스 출신으로 1987년부터 독자 기술로 엘리베이터 제조와 유지관리까지 하는 한진엘리베이터의 박갑용 대표는 "인적 자원이 한정된 정도가 아니라 사람이 없다"며 "용접하는 인력만 구하려고 해도 외국인이 아니면 60대 이상인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3.3007:00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에 편입시키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미국 고위 관료들의 잇따른 그린란드 방문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의 방문 이후에도 미국 고위 인사들의 방문이 계속되고 있다. 방문단에는 JD 밴스 부통령과 아내 우샤 벤스, 마이크 월츠 국가안보보좌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방문 명분은 그린란드 내 미군 시설인 피투

  • 25.03.2907:00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미국 정부가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가 담긴 고위 관료들의 메신저 대화방에 언론인을 실수로 초대하면서 군사 기밀이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는 해당 메신저 이름인 시그널(Signal)을 본따 '시그널게이트'로 부르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고위 외교·안보 관료들의 비밀 대화방에 실수로 미국 시사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했다. 원래는 이름이 비슷한

  • 25.03.2616:50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최근 <AI 패권전쟁>(인문공간)을 발간하는 등 'AI 홍보맨'을 자처하는 김 전 의원은 각종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며 정치 패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에게 AI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적인 대전환을 주장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까닭 등에 대해 물었다. <AI 패권 전쟁> 내용은 무엇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 25.04.0108:35
    ⑥권용진 교수
    ⑥권용진 교수 "직업윤리 바로 세워야"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4
    ⑤김누리 교수
    ⑤김누리 교수 "공적 책임의식 회복 시급"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3
    ④
    ④"보상심리 있지만 의료계-환자 상생하자는 것"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2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③서열·통제·복종 문화 속 집단사고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08:31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②'의대 블랙홀' 속 더 공고해진 특권의식

    편집자주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에 반발해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이 2년째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선배들을 따라 수업을 거부하고 집단 휴학에 들어갔던 의대생들은 유급·제적 처리하겠다는 정부와 대학의 경고에 일단 복귀라는 형식을 대체로 수용하고 나섰지만 재휴학과 수업 거부 등으로 투쟁을 이어갈 가능성이 여전하다. 의대 현장이 가까스로 정상화되는 외양을 갖춘다고 해도 의대생들의 집단화와 그 위력이 남

  • 25.04.0110:59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3선 도전 벌써 언급한 트럼프…"루스벨트도 4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고작 2개월여 만에 3연임 도전에 나설 것임을 시사해 미국 정계에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3연임이 가능한 방법이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 헌법의 대통령 임기 제한 조항을 우회할 수 있다며 자신감까지 내비쳤다. 미국의 대통령은 수정헌법 22조에 따라 3연임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2016년 대선에서 승리해 한 차례 대통령직을 수행했고, 이후 조 바이든

  • 25.03.3008:01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사법리스크 끝났다는 건 이재명 대표나 민주당의 이미지 조작"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지난 28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1시간 동안 출연했다. 인터뷰 전문과 영상은 2일 오전 9시 공개될 예정이다. 이 전 총리는 인터뷰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는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5개 재판 중 가장 간명했던 것이 공직선거법 관련 재판이다. 5개 재판 중 죄질로 보면 가장 가볍다. 그것 하나 고등법원 판단이 나왔다고 사법 리스크가 끝났다는 것은 이재명 대표나

  • 25.03.3007:00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美 고위급 관리들 무더기 그린란드행…합병우려하는 주민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에 편입시키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미국 고위 관료들의 잇따른 그린란드 방문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의 방문 이후에도 미국 고위 인사들의 방문이 계속되고 있다. 방문단에는 JD 밴스 부통령과 아내 우샤 벤스, 마이크 월츠 국가안보보좌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 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포함됐다. 이들의 방문 명분은 그린란드 내 미군 시설인 피투

  • 25.03.2907:00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단톡방 배달사고로 뚫린 美 안보…'시그널게이트' 논란

    미국 정부가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가 담긴 고위 관료들의 메신저 대화방에 언론인을 실수로 초대하면서 군사 기밀이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에서는 해당 메신저 이름인 시그널(Signal)을 본따 '시그널게이트'로 부르며 큰 파장이 일고 있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국 고위 외교·안보 관료들의 비밀 대화방에 실수로 미국 시사지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을 초대했다. 원래는 이름이 비슷한

  • 25.03.2616:50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의원 "여야 대타협, 개헌해야"

    김경진 전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최근 <AI 패권전쟁>(인문공간)을 발간하는 등 'AI 홍보맨'을 자처하는 김 전 의원은 각종 방송에 활발히 출연하며 정치 패널로도 활약하고 있다. 그에게 AI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책적인 대전환을 주장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는 까닭 등에 대해 물었다. <AI 패권 전쟁> 내용은 무엇

  • 25.04.0207:30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하)늦어지는 태양광·해상풍력…위태로운 재생e 실험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았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풍력

  • 25.04.0207:30
    (하)대만전력공사
    (하)대만전력공사 "해상풍력은 하늘이 준 기회"

    "대만 중앙 산맥과 중국 본토 사이에 있는 대만해협은 지리적으로 바람이 강한 지역입니다. 하늘이 준 기회를 버릴 수는 없죠." 지난달 20일 대만 타이베이 대만전력공사에서 만난 차이즈멍 부사장은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해상풍력의 강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산맥은 대만섬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산맥으로, 대만산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만에서 해상풍력 사업은 주로 서해안 지역에 이루어지고 있는데 중앙산맥

  • 25.04.0207:30
    (하)오스테드
    (하)오스테드 "韓 기업과 글로벌 해상풍력 협력하고파"

    "오스테드는 전 세계 해상 풍력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페어 마이너 크리스텐센 오스테드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지난달 21일 대만 타이베이 신이구에 있는 오스테드 아태지역 본부에서 기자와 만나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덴마크 국영 기업인 오스테드와 대만 해상풍력과의 인연은 깊고도 넓다. 오스테드는 대만 최초의 해상풍력단지인 포모사1 개발에 참여한 데 이어 2024년에는

  • 25.04.0107:30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상)원전 가동 중단 코앞…불안한 기업들 "전력부족사태 온다"

    편집자주대만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지 못하는 ‘에너지 섬’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닮아 있다. 반도체 등 첨단 제조 산업이 국가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주변국의 공격 위협에 항시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한국과 대만 정부는 서로의 에너지 정책을 참고하기도 한다. 대만은 5월17일이면 마지막 남은 1기의 원전의 가동을 멈추면서 완전 탈원전 국가로 변모한다. 원전의 빈자리는 태양광, 해상

  • 25.04.0107:30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상)대만 능원서 부서장 "핵융합·SMR 관심있게 보고 있다"

    "대만도 핵 관련 기술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확보되고 핵폐기물 이슈가 해결된다면 ‘새로운 핵기술’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우즈웨이 대만 경제부 능원서(能源署·에너지청) 부서장은 지난달 21일 타이베이 경제부 회의실에서 진행된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대만 정부는 탈원전 이후에도 새로운 원자력 기술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만은 5월17일 현재 가동 중인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