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준공 당시 의무 설치 대상 아냐
사망자 2명 에어매트 뛰어내리다 숨져
20~50대 대부분 화재 장소 인근 투숙
경기 부천의 한 호텔에서 19명의 사상자를 낸 원인 모를 화재가 발생해 소방 당국이 합동 감식을 진행한다. 호텔의 빈 객실에서 시작된 불은 유독가스를 일으켰고, 객실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아 피해를 키운 것으로 추정된다.
23일 소방청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7시 39분께 부천 원미구의 9층짜리 호텔 8층에서 불이 나 20~50대 투숙객 등 내국인 7명이 사망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와 경기남부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이날 오전 11시 정확한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 등을 확인하기 위해 유관 기관과 합동 감식을 진행한다. 화재는 투숙객이 없는 빈 객실 810호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화재 발생 전 해당 객실을 배정받은 사람이 있었지만, "타는 냄새가 난다"며 객실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취사도구가 구비돼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화재 사망자 중 2명은 불이 난 호텔 내부가 아닌 소방이 설치한 에어매트로 뛰어내리는 과정에서 숨졌다. 이상돈 부천소방서 화재예방과장은 "에어매트로 뛰어내린 남녀 2명이 모두 사망했다"며 "첫 번 뛰어내린 분이 뛰어내리면서 (정상적으로 펼쳐져 있던) 에어매트가 뒤집힌 것으로 확인된다"고 설명했다. 에어매트는 추락 시 가해지는 충격을 버틸 수 있게 설계됐지만 평평한 지대에 설치돼 있지 않거나, 가장자리로 충격이 지속될 경우 뒤집힐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 대부분의 사망자는 화재가 발생한 8층 객실 인근에 투숙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중상자는 3명, 경상자는 9명이며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다.
2003년 준공된 이 호텔의 객실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아 피해를 키운 것으로 추정된다. 호텔 준공 당시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은 11층 이상이었기 때문에 이 호텔은 의무 설치 대상에서 제외됐다. 스프링클러 의무 설치 대상은 2017년부터 6층 이상의 신축 건물로 확대됐지만, 의료기관이나 요양병원 등 일부를 제외하면 소급 적용이 되지 않는다.
지금 뜨는 뉴스
화마가 크게 번지지는 않은 반면 검은 연기와 함께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한 것 역시 피해가 커진 요인으로 분석된다. 이 과장은 "저희가 선착했을 당시에 내부에 이미 연기가 가득 차 있었으며 창문으로 분출되고 있는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연기가 시야를 가리고 호흡을 어렵게 해 비상구를 찾거나 탈출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었을 수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